하이닥

상담 목록

Question WBC 수치
안녕하세요. 제가 올해 2월에 WBC 가 3.67
이었고 Segmented neutrophils 39(정상치 48-75) , Lymphocytes 52(정상치 15-40) 최근에 다시 하니
WBC 3.00, segmented neutrophils 30(정상치 38-78) , Lymphocytes 58( 정상치 12-51) 이렇게 나왔습니다.
검사를 더 해봐야 하나요? 림프암이나 뭐 혈액암 이런게 걱정되서요. 최근에 부딪친곳이 없는가 같은데 다리에 파랗게 멍좀 자주 들기는 합니다. 며칠전에 허벅지를 의자에 부딪쳤는데 멍이 좀 심하게 들기도 했고요. 검사를 더 받아 봐야 할까요? 걱정되서 물어 봅니다. 그리고 아밀라제 수치가 약간 높습니다. 125 이것도 올 초보다 상승 했습니다. CA19-9 이 수치는 정상이고요.


answer Re : WBC 수치
김경남
김경남 전문의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하이닥 스코어: 597
전문가동의 0 | 답변추천 0
안녕하세요.

#요약
1. 절대호중구수치(ANC)가 제일 중요합니다.
2. 백혈구 수치는 3000 이고, ANC 수치는 900 입니다.
3. 수개월 있다 동일 검사를 재검해서 추이를 보면 됩니다.
4. 절대호중구수치가 떨어지면 정밀 검사가 필요합니다.

총 백혈구수에 호중구의 백분율을 곱하여 계산한 것으로
이걸로 호중구감소증을 진단할 수 있습니다.

호중구 정상수치는 1800~7000인데,
항암치료할때는 1000~1500 정도를 마지노선으로 봅니다.

절대호중구수 감소는

-약물 독성,
-과민반응,
-항암제,
-면역억제제 사용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절대호중구수 감소를 일으키는 질환으로는

-골수형성이상증후군,
-백혈병,
-재생불량빈혈 등이 있습니다.

​건승하세요.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answer Re : WBC 수치
홍인표
홍인표 전문의 닥터홍가정의학과의원 하이닥 스코어: 4914
전문가동의 0 | 답변추천 0
안녕하세요. 하이닥 가정의학과 상담의 홍인표입니다.
병원에서 추가검사를 권하지 않으면 추적검사만 하면서 경과를 지켜보셔도 큰 문제는 없을 것 같습니다.
호중구 감소와 림프구 증가의 원인
감염:

바이러스 감염: 특히 바이러스 감염은 호중구 감소와 림프구 증가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독감, 단핵구증(EBV), CMV 등이 있습니다.
세균 감염: 세균 감염 초기에는 호중구가 증가하지만, 만성 감염의 경우 호중구 감소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약물:

항생제, 항암제, 항경련제, 면역억제제 등 일부 약물은 호중구 감소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자면역질환:

전신홍반루푸스(SLE), 류마티스 관절염 등 자가면역질환은 호중구 감소와 림프구 증가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혈액질환:

백혈병, 골수이형성증후군 등은 백혈구 수와 유형의 비정상적인 변화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영양결핍:

비타민 B12, 엽산 결핍은 백혈구 감소증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기타:

스트레스, 심한 운동, 전신 염증 반응(패혈증) 등이 호중구 감소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