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닥

상담 목록

Question 탈모약 복용 6개월차 갑자기 악화
저는 올해 2월에 유전탈모 판정을 받아 피나스테리드를 복용중인 24살 남성입니다. 약을 복용하니 M자는 잘안막아지긴 했지만 정수리탈모는 굉장히 잘막아졌습니다. 근데 최근에 갑자기 머리 감을때 정수리쪽에서 굵고 긴머리카락,굵었는지는 모르겠지만 짧은 머리카락들이 엄청 빠집니다. 왜 이러는걸까요 ㅠㅠㅠ.혹시 갑자기 유전성이 크게 작용하는걸까요?(ex노화)게다가 최근 몸에 털이 좀 굵어지는거 같기도 해요...
그리고 유전탈모여도 휴지기탈모란게 있나요?


answer Re : 탈모약 복용 6개월차 갑자기 악화
노윤우
노윤우 전문의 맥스웰피부과의원 하이닥 스코어: 67
전문가동의 0 | 답변추천 0
안녕하세요. 하이닥 피부과 상담의 노윤우입니다.

피나스테8드를 복용하면서 치료하고 있는 남성형탈모증(유전적인 탈모질환)은 빠지는 증상은 없습니다. 남성형 탈모증은 모발이 가늘어지면서 모발이 점점 없어지는 증상으로 진행이 됩니다. 약을 복용하고 좋아지셨다면 빠지는 양이 줄어든 것이 아니고 모발이 굵어지면서 모발이 풍성해지는 변화가 생기는 겁니다. 앞으로도 꾸준히 복용해서 굵기를 지키는 것이 약의 역활이고 효능입니다. 머리카락이 많이 빠지는 증상은 남성형탈모증과 다른 증상이 생기는 것입니다. 대표적인 질환이 휴지기탈모증입니다. 휴지기 탈모증은 남성형 탈모증과는 전혀 다른 종류의 탈모질환입니다. 그러나 휴지기 탈모증은 오래 지속되지 않고 대부분의 경우 자연적으로 회복이 되니 많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그러니까 지금 복용하고 있는 피나스테*드는 계속 복용하시고, 빠지는 양이 늘어난 것은,,, 빠지는 양이 줄지 않으면 병원을 방문하셔서 정확히 원인이 무엇인지 진단을 받아 보시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감사합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answer Re : 탈모약 복용 6개월차 갑자기 악화
최시훈
최시훈 의사 에이지의원 하이닥 스코어: 5
전문가동의 0 | 답변추천 0
안녕하세요. 하이닥 피부과 상담의 최시훈입니다.
갑자기 빠지는 양이 증가하는 것은 일반적인 남성형탈모의 증상은 아닙니다.
차라리 휴지기탈모라고 보시는 것이 좀 더 맞습니다.
그리고 남성형탈모가 있는 분에게 당연히 휴지기탈모도 같이 올 수는 있습니다.
하지만 진료를 통해서 정확한 진단을 받으시는 것을 좀 더 권해드리겠습니다.

다만, 환자분들이 흔히 잘 못 생각하시는 부분이
약을 먹으면 빠지는 머리카락이 없을 것이다 라는 생각입니다.
약을 먹더라도 머리카락은 빠졌다 자랐다를 반복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저는 개인적으로 남성형탈모로 인해서 약을 드시는 분에게
머리카락의 빠지는 정도를 신경쓰지마라고 권해드리는 편입니다.

큰 문제가 아닌 경우가 보통이기 때문에
걱정이 많이 되신다면 병원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아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answer Re : 탈모약 복용 6개월차 갑자기 악화
김경남
김경남 전문의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하이닥 스코어: 521
전문가동의 0 | 답변추천 0
안녕하세요

#요약
1. 약을 먹어도 머리털은 빠집니다.
2. 현상 유지를 해 주는데 만족을 해야 하며
3. 특정 시점에 우르르 빠지는 건 휴지기에 있던 털들이 빠지는 것들입니다.

휴지기는 약 3~4개월 정도의 기간을 가지며,
새로운 신생모가 자라 나오기까지 모낭 안에 존재합니다.

탈모가 시작되는 사람의 경우,
휴지기 모발 비율이 증가하는 것이 특징으로 이런 현상이 많이 나타납니다.

건승하세요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answer Re : 탈모약 복용 6개월차 갑자기 악화
홍성재
홍성재 의사 웅선의원 하이닥 스코어: 21
전문가동의 0 | 답변추천 0
안녕하세요. 하이닥 피부과 상담의 홍성재입니다.
휴지기탈모는 유전이 아닌 환경적 원인에 의해 발생합니다.
또한 유전에 의한 탈모, 즉 안드로겐형 탈모는 모발이 갑자기 빠지는 것이 아니고 서서히 가늘어지는 것입니다.
만약 하루 100개 이상의 모발이 빠지는 증상이 2개월이상 지속된다면 병원에서 정확한 진단을 받아보세요.
감사힙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