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닥

상담 목록

Question 척골 증후근 스트래칭
오른쪽 손가락 4.5번째 감각이 무뎌지고 마취되느낌이 발생햇습니다.
지난토욜이 간만에
핸들이 일자형 자전거를 장시간탄후 발생했는데요..
병원은 안가봤지만 척골신경증후근 같은데
혹시 지금 삼일째인데..빠른회복을 위해 스트레칭이 해주는게 좋은가요?
그냥 한동안쉬는게 좋은가요?


answer Re : 척골 증후근 스트래칭
박종원
박종원 전문의 아나파신경과의원 하이닥 스코어: 867
전문가동의 0 | 답변추천 0
안녕하세요. 하이닥 신경과 상담의 박종원입니다.
4,5번 손가락은 척골신경이 담당합니다.
뒷목, 앞목, 소흉근 주변, 팔꿈치 안쪽, 손목 외측 등에서
신경압박 여부를 진찰하게 됩니다.
압박 부위에 따라 치료내용은 달라집니다.
스트레칭은 문제 부위를 확인해야 도움이 되겠습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answer Re : 척골 증후근 스트래칭
채홍석
채홍석 전문의 의료법인영훈의료재단 유성선병원 하이닥 스코어: 99
전문가동의 0 | 답변추천 0
안녕하세요. 하이닥 가정의학과 상담의 채홍석입니다.
증상이 있을 때 가장 먼저 고민을 하는 것은 병원에 갈까 말까인 것 같습니다
단연코 바로 병원에 가셔야 합니다
빠른 회복을 위해서라면 더더욱 그렇습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answer Re : 척골 증후근 스트래칭
이이호
이이호 전문의 창원파티마병원 하이닥 스코어: 2015
전문가동의 0 | 답변추천 0
안녕하세요. 하이닥 외과 상담의 이이호입니다.

척골 신경 증후군 증상이 나타난 경우, 적절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손가락의 감각이 무뎌지거나 마취된 느낌이 드는 것은 척골신경이 압박을 받거나 자극을 받는 경우일 수 있습니다. 자전거를 장시간 타면서 손목이나 팔꿈치에 압력이 가해졌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스트레칭: 일반적으로 스트레칭은 신경의 압박을 줄이고 혈액 순환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통증이나 불편함이 느껴질 경우에는 무리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간단한 스트레칭을 시도해보세요:

손을 펴고 손목을 부드럽게 뒤로 젖히는 동작.
팔꿈치를 곧게 펴고 손바닥을 아래로 향하게 하여 손가락을 아래로 눌러주는 동작.
휴식: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손과 팔을 휴식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전거를 타는 동작이 반복되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냉찜질: 증상이 심하다면 냉찜질을 통해 염증을 줄이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증상이 계속되거나 악화된다면 전문의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적절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answer Re : 척골 증후근 스트래칭
김경남
김경남 전문의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하이닥 스코어: 521
전문가동의 0 | 답변추천 0
안녕하세요

#요약
1. 신경과에서 검사 후 치료를 받으세요
2. 신경이 눌린게 회복이 안되고 있는 겁니다.
3. 언급한 행위가 오히려 회복에 지장이 될 수 있습니다.

건승하세요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answer Re : 척골 증후근 스트래칭
박수철
박수철 전문의 활기찬정형외과의원 하이닥 스코어: 30
전문가동의 0 | 답변추천 0
안녕하세요. 하이닥 정형외과 상담의 박수철입니다.

오른쪽 손가락 감각이 무뎌지고 마취된 느낌이 3일째 지속되고 있는 상황은 신경 압박이나 손상의 징후일 수 있습니다. 최근에 핸들이 일자형인 자전거를 장시간 타면서 손목이나 팔에 압력이 가해졌던 것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

빠른 회복을 위해서는 몇 가지 방법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먼저, 손이나 팔을 과도하게 사용하지 않도록 하고, 가능한 한 편안한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가벼운 스트레칭을 통해 혈액 순환을 도와주면 좋지만, 과도한 스트레칭이나 무리한 운동은 피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통증이 심할 경우 냉찜질을 해주고, 부기가 있는 경우에는 온찜질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만약 증상이 지속되거나 악화된다면 반드시 병원에 방문하여 전문의의 진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건강을 잘 챙기시기 바랍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