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닥

상담 목록

Question 조기수축 진단..
안녕하세요
부정맥 증상이 있어 7일 웨어러블 심전도 측정 후
심방세동, 심방빈맥 발생비율이 높아 전극도자절제술 시행했습니다.
당시 홀터 검사지에서 조기축도 1% 발생했다고 나왔고 실제 초진 때 처음 증상이 맥박이 건너뛰거나 빨리 뛰는 증상도 있었습니다
진단서에 안써주시더라고요..ㅜㅜ

이유는 7일 홀터 검사 결과지상 조기수축은 보였으나 발생률이 1%라 안된다고 하셨고.. 전기자극전도절제술하면서 부정맥 유발해보고 조기수축나오면 기재해주신다고하셨는데 시술할 땐 안나왔어요ㅠㅠ 그래도 7일동안 1%정도 조기수축을 보였는데 안써주시는게 이해가 안되서요 심혈관 모임카페를 가도 조기수축 발생률 0.1%인데도 진단서 기재 받았다는데..ㅠㅠ 환자 입장에선 진단비 보험이있어서 진단서 기재 받기를 원하는데ㅜ 홀터검사결과지를 받아서 타병원가서 진단을 받을 수 있을까요?

아니면 발생률이 어느정도여야 진단서 기재 해주는 그 기준이있을까요?ㅜㅜ다음 외래 때 다시 말씀이라도 드려볼까합니다..


answer Re : 조기수축 진단..
채홍석
채홍석 전문의 의료법인영훈의료재단 유성선병원 하이닥 스코어: 99
전문가동의 0 | 답변추천 0
질문자의 감사 인사 | 안녕하세요 답변감사드리나 관련 없는 답인거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답변감사드리나 관련 없는 답인거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하이닥 가정의학과 상담의 채홍석입니다.
인터넷으로 아래를 검색해보시면 나옵니다

https://www.hira.or.kr/rc/insu/insuadtcrtr/InsuAdtCrtrPopup.do?mtgHmeDd=20220201&sno=5&mtgMtrRegSno=3&brdScnBltNo=4&brdBltNo=
부정맥의 고주파절제술(RFA) 및 냉각절제술의 급여기준

한 번 확인을 해보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