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닥

상담 목록

Question 호산구 증가, 호중구 감소에 1년 넘게 지속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약 2022년 말부터 건강검진 및 내과 피검사를 할때마다,
호산구 수치가 조금씩 증가하면서,
호중구 수치는 조금씩 감소했습니다.

그러다가 가장 최근에 대학병원 내과에서,
알레르기 포함 피검사를 했는데,
마찬가지로 호산구 수치 증가, 호중구 수치 감소 결과가 보였습니다.

우선 대학병원 내과 교수님께서는 6개월 후에 다시 피검사를 해보자고 하셨고,
그 전에라도 몸상태가 변하거나 그러면 언제든지 오라고 하셨습니다.

최근 한달에 회사에서 무거운 짐을 나르다가 허리를 삐끗하여,
대학병원 정형외과에서 MRI 및 X-RAY 검사를 해봤더니,
요추 부위에 2군데 미세하게 디스크 판정이 나왔었습니다.

그런데 그때쯤부터 다리 저림, 정강이 뼈 통증, 골반통증, 허벅지 뻐근함이 생겨서,
허리 디스크로 인한 신경눌림 증상이구나. 생각하며 정형외과 교수님으로부터 같은 얘기를 들었는데요.

가장 최근 1주일 전부터는 팔저림, 팔꿈치 뼈 통증, 등 날개뼈 주변 통증, 양팔에 두드러기 발생 등 다양한 증상들도 생겼습니다.
팔저림과 팔 관절 통증으로 그런지는 모르겠지만, 팔 근력도 저하된 느낌이 분명 있습니다.

그리고 두통은 올해 초부터 쭉 지속되어 상급병원 신경외과에서 뇌CT 촬영 후 의사선생님께서 결과 확인하셨지만,
뇌CT 결과 두통에 원인은 보이지 않는다고 하셨습니다.

최근까지, 오늘도, 1주일에 하루 이틀은 어지러움, 뒷목뻐근함, 뒷통수통증, 무기력감, 피로 등이 있으며,
전신에 근육이 아픈건지, 힘줄부위가 아픈건지, 뼈나 관절이 아픈거지는 모르겠지만,
500원짜리 통전크기만한 범위로 시큰거리거나 타는듯한 통증이 있습니다.

우선 가장 최근 대학병원 피검사 결과는 본문 하단에 기재했으며,
지난 1년간 대학병원 피검사했을때 백혈구, 호산구 수치에 대해,
따로 기록해놓은 내용을 첨부파일에 올립니다.


★ 2년간 기생충약 복용, 알레르기검사 후 알레르기 없음 확인 상태이며, 최근 증상으로는 왼쪽 맨 밑 갈비뼈 부위에 찌르는듯한 통증이 발생했는데 2~3일에 한번정도 있음.

★ 관련된 가족력 없음.

★ 작년 9월 비뇨기과 요로결석 수술했고, 그 전후로 결석검사 및 수술로 인해, CT촬영을 5~6번 했음. (최근 5년간 CT촬영 총 8회)



2024년 6월 5일에 대학병원 피검사 결과는,
(검사명 / 결과값 / 참고치)
---------------------------------------------------
Vit B12(EIA) / 401.00 / 211~911
---------------------------------------------------
Eosinophils(혈액) / 900 / 50~500
Absolute Lymphocyte count / 1720 / -
Absolute Neutrophil count / 1706 / 1600~7000
Basophil / 0.9% / 0%~2%
Eosinophil / 19.7% / 0%~5%
MCH / 28.8pg / 28~34
MCHC / 31.9(g/dL) / 32~36
MCV / 7.1 / 7~11
PCT / 0.16% / 0.12%~0.38%
PDW / 47.6% / -
RDW / 12.6% / 11.5~14.5
Reactive lymphocyte / 2.3 / -
Absolute reticulocyte count / 49800uL / -
Band / -
Blast / -
Corrected Retic / 1.0% / -
Hb / 15.0(g/dL) / 13~17
Hct / 46.9% / 39~51
Immatrue cell / -
Lymphocyte / 35.5% / 20~44
Metamyelocyte / -
Monocyte / 4.1% / 2~9
Platelet / 221(-*10^3/mm^3) / 150~400
Promyelocyte / -
RBC / 5.19(-*10^6/mm^3) / 4.3~5.6
RPI(Reticulocyte production index) / 1.0% / -
Segment neutrophil / 37.5% / 50~75
WBC / 4.55(-*10^3/mm^3) / 3.8~10
myelocyte / -
Reticulocyte% / 1.0% / 0.5~1.5
---------------------------------------------------
ALT(SGPT) / 24(U/L) / 7~40
AST(SGOT) / 16(U/L) / 10~40
Albumin(serum) / 4.8(g/dL) / 3.5~5.2
Alkaline Phosphatase / 95 / 35~123
BUN(serum) / 13.4 / 8.22
Creatinine(serum) / 0.76 / 0.5~1.2
GAMMA-GT / 48(U/L) / 7~72
Protein(serum) / 7.6 / 6.82
Total bilirubin / 1.03(mg/dL) / 0.1~1.2
hsCRP / <0.05(mg/dL) / 0.05~0.5
---------------------------------------------------
입니다.


백혈구 관련된 병, 질환은 피검사에서 호산구, 호중구 수치의 변화보다, 골수검사가 정확하다고 하는데.. 골수검사를 해봐야할까요..


answer Re : 호산구 증가, 호중구 감소에 1년 넘게 지속되고 있습니다.
박현민
박현민 전문의 서울박내과의원 하이닥 스코어: 207
전문가동의 0 | 답변추천 1
안녕하세요. 하이닥 혈액종양내과 상담의 박현민입니다.

호산구 증가증이 맞고, 이의 원인이 골수인지 자가면역질환이지는 명확치 않습니다.
현재 통증도 자가면역질환에 의한 것일 수는 있으나, 우선 골수검사는 기본일것으로 판단됩니다.

담당 주치의와 상의해 보십시요.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answer Re : 호산구 증가, 호중구 감소에 1년 넘게 지속되고 있습니다.
채홍석
채홍석 전문의 의료법인영훈의료재단 유성선병원 하이닥 스코어: 99
전문가동의 0 | 답변추천 1
안녕하세요. 하이닥 가정의학과 상담의 채홍석입니다.
업로드해주신 증상의 설명과 자료는 잘 보았습니다.
호산구에 관해서는 정밀검사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