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닥

상담 목록

Question 크레아티닌과 시스타틴c의 차이가 큽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32세 남성입니다.

키 : 189
몸무게 : 86
평소 헬스와 축구를 병행하고 있고 보충제는 따로 먹고 있지않으며 고기를 즐겨 먹습니다.

올해 크레아티닌 수치가
1.28 -> 1.36 -> 1.3(대장내시경 10.18)
높에 측정되어 신장의 기능 저하가 있어보여
종합병원 산장내과를 방문하여 피검사를 진행하였습니다.
수치는

크레아티닌 : 1.30
시스타틴c : 0.77
BUN : 14.2
요산 : 5.2
단백뇨 혈뇨 없었고 갑상선 정상이었습니다.

그리고 1년 반 전부터 혈압약 코자정50mg(ARB계열) 복용중이
며 현재 가정혈압 측정하면 105-118정도의 혈압을 유지중 입니다.

주치의 소견으로는 크레아티닌으로 구한 사구체여과율은 75%대로 만성신부전 2기에 해당되지만 시스타틴c수치가 정상과 다른 수치들도 정상이어서 만성신부전으로 보기 어렵다고 했습니다.
식단도 문의했지만 저염식 및 저단백 식이할 필요없이 일반식하라고 권유받았고 내년초 피검사 다시 해보자고 했습니다.

현재 크레아티닌과 시스타틴c 수치가 크게 차이나 혼란스럽습니다. 크레아티닌이 근육과 식이에 영향을 받는다고 합니다.

제가 현재 보디빌딩 선수와 같은 엄청난 근육량을 가지고 있지 않는데 크레아티닌 수치가 상승에 영향을 줄 수 있는건가요?

시스타닌c 수치를 보고 만성신부전 2기가 아니라고 판단이 가능할까요?

정말 불안한 마음에 질문 드립니다.


answer Re : 크레아티닌과 시스타틴c의 차이가 큽니다.
채홍석
채홍석 전문의 의료법인영훈의료재단 유성선병원 하이닥 스코어: 99
전문가동의 0 | 답변추천 0
안녕하세요. 하이닥 가정의학과 상담의 채홍석입니다.
업로드해주신 증상의 설명과 자료는 잘 보았습니다
만성신부전은 투석을 해야하는 상황입니다
환자분의 경우 만성신질환이며 나머지는 담당선생님 말씀대로네요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answer Re : 크레아티닌과 시스타틴c의 차이가 큽니다.
이이호
이이호 전문의 창원파티마병원 하이닥 스코어: 2015
전문가동의 0 | 답변추천 0
질문자의 감사 인사 |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고맙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고맙습니다.

안녕하세요. 하이닥 외과 상담의 이이호입니다.

크레아티닌과 시스타틴 C의 차이:
크레아티닌: 주로 근육 대사에서 생성되며, 신장에서 배설됩니다. 운동량, 근육량, 식이요법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크레아티닌 수치는 신장 기능을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시스타틴 C: 체내에서 모든 세포에서 생성되는 단백질로, 신장에서 필터링됩니다. 크레아티닌보다 신장 기능을 더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는 경우가 많고, 근육량이나 식이요법의 영향을 덜 받습니다.

크레아티닌 수치가 상승한 것은 신장 기능 저하의 가능성을 나타낼 수 있지만, 시스타틴 C 수치가 정상이라면 신장 기능이 상대적으로 양호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이는 주치의가 만성신부전으로 보기 어렵다고 판단한 이유 중 하나입니다.

크레아티닌 수치는 근육량에 영향을 받습니다. 그러나 보디빌딩 선수와 같은 엄청난 근육량이 아니더라도, 일반적인 운동량이나 고단백 식단이 수치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운동과 식단이 크레아티닌 수치에 기여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현재 상태에서 불안감을 줄이기 위해서는 정기적인 모니터링이 중요합니다. 내년 초에 다시 피검사를 통해 수치를 확인하고, 주치의와 상담하여 필요시 추가 검사를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