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하이닥 안과 상담의 오영삼입니다.
질문에 대한 답변을 차례대로 드리겠습니다:
1. 성인기 이후 시력저하 원인
성인기 이후 시력 저하는 일반적으로 드물지만, 특정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컴퓨터나 스마트폰 사용: 장시간 근거리 작업으로 인해 디지털 눈 피로(Digital Eye Strain) 또는 가성근시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스트레스: 군생활 중의 스트레스와 수면 부족, 불규칙한 생활은 눈 건강에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스트레스는 자율신경계 불균형을 유발해 일시적으로 시력 저하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환경적 요인: 군대에서의 먼지, 자외선 노출, 혹독한 환경은 눈에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난시: 난시는 나이가 들면서 변화할 수 있으며, 근시나 원시의 정도에 따라 시력 저하가 더 두드러질 수 있습니다.
조치: 원인을 정확히 확인하려면 정밀 안과 검진을 통해 각막, 수정체, 망막 상태를 평가해야 합니다.
2. 안경 사용과 시력 저하
안경 사용이 시력에 미치는 영향
안경을 착용한다고 해서 시력이 좋아지지는 않지만, 시력 저하를 방지하거나 안정화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안경을 착용하지 않으면 눈이 더 피로해져 가성근시가 악화될 수 있습니다.
특히 난시 교정은 중요합니다. 교정하지 않으면 눈 피로, 두통 등이 발생하고 시력이 더 나빠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근거리 작업과 시력 저하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 과도한 근거리 작업(컴퓨터, 독서 등)을 하면 추가적인 피로로 인해 시력이 나빠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작업 시 적절한 거리 유지(30~40cm), 20-20-20 규칙(20분마다 20초씩 20피트 거리 보기)**가 필요합니다.
3. 두 병원의 진단 차이
병원 1과 병원 2의 차이는 검안 방식과 난시 교정 정도에서 비롯된 것 같습니다:
안과 1
좌안: -1 (근시), 난시 -0.5 방향 90도
우안: -0.5 (근시), 난시 -0.5 방향 90도
평가: 근시와 난시를 적당히 교정해 시야가 더 선명하게 느껴졌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안과 2
좌안: -1 (근시), 난시 -1 방향 90도
우안: 근시 없이 난시 -1 방향 90도
평가: 난시를 더 강하게 교정했으나, 체감적으로 불편한 이유는 과도한 난시 교정 때문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난시 교정은 과도할 경우 오히려 시야가 어색하거나 어지러움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추천:
안과 1에서 교정한 안경 처방이 더 적합해 보입니다. 이미 선명하다고 느낀다면, 과도한 교정보다는 적절한 교정을 선택하는 것이 눈 피로를 줄이는 데 유리합니다.
추가적으로 3차원 망막 검진과 각막 지형도 검사를 받아 난시 원인과 근시 변화 상태를 파악하세요.
추가 조언
정밀검사 필요
시력 저하가 큰 편이므로 단순 검안만으로 원인을 판단하기 어렵습니다. 망막 검사, 안압 검사, 안구 CT(혹은 OCT) 등을 통해 눈 건강 상태를 확인하세요.
안경 착용
편안하게 느껴지는 교정값(안과 1)을 바탕으로 안경을 제작해 착용해 보세요.
적응 기간은 약 2주가 필요하며, 그 이후에도 불편하다면 다시 검사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생활습관 개선
눈 보호: 블루라이트 차단 안경 사용과 충분한 수면.
작업 환경: 적절한 조명과 휴식 시간 확보.
정기적인 안과 검사
6개월에서 1년에 한 번씩 시력 변화를 추적하세요.
이 조언을 토대로 안경을 맞추고, 필요시 정밀검사를 진행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