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닥

상담 목록

Question 연골막염? 연조직염?
2023년 1월 경 귓볼과 연골부위 피어싱을 했습니다(양쪽 귓볼, 오른쪽 연골2개 총4개)
2023년 7-8월 연골 피어싱에 염증이 생겨서 한달정도 이비인후과 치료 받고 피어싱도 막고 완치판정 받았습니다.
그런데 이후로도 간헐적으로 붉어지고 열감이 생깁니다.
또 최근에는 귓볼도 붓고 자고 일어날때마다, 오른쪽 귀가 통으로 빨개지고 열감 생기고, 심장이뛰는느낌이 약하게 들어요. 하나 남았던 연골 피어싱도 뺐는데 뒤에 약간 부은 부분이 있다가 소염제먹고 좀 가라앉았어요.

1. 연골막염 후유증으로 열감 발적 있을 수 있나요?
2. 연골막염으로 시작해서 연조직염으로 번질 수 있나요? 혹은 그냥 귓볼로 새롭게 감염이 된 걸까요?
3. 연조직염이어도 귀가 전체적으로 붉어질 수 있나요?
4. 뚫은지 2년이 되어가는데도 아물지 않고 주기적으로 덧나는 거면 막고 새로 뚫는 편이 낫나요? 이렇게 염증이 반복되다 보면 귓불 자체가 더 두꺼워질 수도 있나요? 반대쪽보다 두꺼운 것 같아요


answer Re : 연골막염? 연조직염?
진상균
진상균 전문의 웨이브의원 하이닥 스코어: 1
전문가동의 0 | 답변추천 0
안녕하세요. 하이닥 이비인후과 상담의 진상균입니다.
현재 피어싱을 가지고 있는 건가요? 피어싱의 가장 큰 부작용은 귀이개 연골막염 입니다.
이는 연골에 염증이 전체적으로 발생하여 귀가 전체적으로 발적되며, 연골의 모양을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피어싱을 제거하고 항생제 치료를 하면서 필요한 경우 주사 치료도 시행할 수 있습니다.
이미 다 제거한 경우라면, 후유증으로 발생할 가능성은 높지 않습니다.
또한, 현재 가지고 있는데, 2년 동안 괜찮다고 증상이 새롭게 발생할 수 있냐? 네 있습니다.
피어싱은 지속적인 자극 혹은 새로운 재질로 바뀔 때, 단순 염증, 접촉성 염증 혹은 알러지성 염증 등으로 인해
국소적 혹은 전체적인 염증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증상이 심할 경우에는 제거를 하는 것이 좋으며,
국소적일 경우에는 피어싱 재질을 바꾸거나 약을 복용 그리고 연고를 가볍게 도포하면서 경과를 지켜보는 것이 좋습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