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하이닥 가정의학과 상담의 홍인표입니다.
1. 무증상 신장결석 (작고 증상이 없는 경우)
경과 관찰:
결석이 작고 (대개 5mm 이하) 증상이 없으면 특별한 치료 없이 정기적으로 크기 변화를 관찰합니다.
주기적인 소변 검사와 영상 촬영(초음파 또는 CT)을 통해 상태를 확인.
생활습관 개선:
충분한 수분 섭취(하루 2-3리터 이상)로 소변 희석을 유도.
적절한 식단 관리:
옥살산이 많은 음식(초콜릿, 시금치, 견과류) 섭취 줄이기.
염분과 동물성 단백질 제한.
칼슘 섭취는 적절히 유지 (과잉 섭취 금지).
2. 중간 크기의 신장결석 (증상이 있거나 성장하는 경우)
충격파 쇄석술(ESWL):
비침습적 방법으로, 충격파를 통해 결석을 부수어 소변으로 배출되도록 유도.
결석 크기가 약 2cm 이하일 때 효과적.
적은 통증과 빠른 회복이 장점.
내시경적 신장결석 제거술:
요관을 통해 내시경으로 신장 내부에 접근하여 결석을 직접 제거.
신장의 중간 크기 결석(2cm 이하)에 주로 사용.
3. 큰 신장결석 (2cm 이상 또는 복잡한 결석)
경피적 신결석 제거술(PCNL):
피부를 통해 작은 절개를 만들고 신장에 접근하여 결석을 제거.
신장의 큰 결석(2cm 이상)이나 복잡한 결석(사슴뿔 모양 등)에 효과적.
마취가 필요하며, 회복 시간이 길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