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하이닥 가정의학과 상담의 홍인표입니다.
조직검사 결과에서 *"favor borderline or low-grade malignant potential"*이라는 표현이 나왔다면, 경계성 종양(borderline tumor)이나 저등급(저악성도) 육종일 가능성이 있다는 의미로 보입니다
1. 저등급 육종도 암인가요?
네, 저등급 육종(low-grade sarcoma)도 악성 종양, 즉 암의 한 유형입니다. 하지만 성장이 느리고 전이가 드문 특성을 가지며, 치료 후 예후가 비교적 좋은 편입니다.
2. 저등급 육종의 치료는 광범위 절제 및 예후 관찰이 맞나요? (방사선, 항암 X)
일반적으로 **광범위 절제(Wide Excision)**가 1차적인 치료 방법입니다.
저등급 육종은 전이가 드물어 방사선 치료나 항암 치료를 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절제 범위가 불충분하거나 재발 위험이 높은 경우, 보조 치료(방사선 치료)를 시행하기도 합니다.
3. 저등급 육종은 재발 가능성이 높은가요?
육종은 전반적으로 재발 가능성이 높은 종양이지만, 저등급 육종의 경우 상대적으로 낮은 편입니다.
그러나 완전히 제거되지 않거나 절제 범위가 좁을 경우 국소 재발(local recurrence) 위험이 있습니다.
전이가 드물지만, 오랜 시간이 지나 재발하는 경우도 있어 장기적인 추적 관찰이 필요합니다.
4. 저등급 육종의 예후는 좋은 편인가요?
네, 일반적으로 예후가 좋은 편입니다.
고등급 육종(high-grade sarcoma)에 비해 성장 속도가 느리고 전이가 드물어 생존율이 높습니다.
완전 절제 시 장기 생존율이 높고, 5년 생존율은 80~90% 정도로 알려져 있습니다.
5. 둘 중 가능성이 더 높은 것은?
*"favor borderline or low-grade malignant potential"*이라는 표현을 보면,
① 경계성 종양(borderline tumor)
② 저등급 육종(low-grade sarcoma)
두 가지 가능성이 있는데, 보통 육종(low-grade sarcoma) 가능성을 더 높게 보는 경향이 있습니다.
제답변은 참고만하시고 주치의 선생님과 상의하셔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