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닥

상담 목록

Question 고혈압에 의한 시신경 손상
1. 2018년 눈에 암점과 중심 사야가 큰 부분으로 깜빡 깜빡 거리는 증상이 갑자기 생겨서 동네 안괴 방문.. 망막 검사에서 고혈압에 의해서 혈관이 터져있다는 것 발견.. 대학병원으로 가보라는 소견.

2. 대학병원 대신 지방 광역시에서 지방 대학병원 교수 출신 위주로 운영하는 큰 안과 방문.. 안구의 동맥 혈관이 좁아져 있고 고혈압성 손상이 의심된다는 같은 판단..
당시 혈압이 수축기 200 정도 됨.

3. 카나브 60미리를 복용하고 관리해서 혈압은 많이 좋아쟜지만 오른쪽 눈에 4-5시 방향으로 지우개로 길게 지운듯이 안보이는 부분이 생기고 오릉쪽 시야에서 코쪽 방향 밑애도 좀 생김.

4. 다른 부분은 다 좋아졌지만 시간이 지나오 3번 증상은 여전해서 2021년에 망막 전문 안과에 내원해서 OCT등 많은 특수 검사 받음.

5. 혈압이 높다는 이야기를 안하니까, 망막 전문의 선생님 의견으로는 오른쪽눈의 시신경 벽(?)이 얇아져 있다고 하심. 처지나 약물 처방 없고 인공 눈물만 처방. 1년뒤 오라함.

6. 2022년 8월에 1년만에 내원해서 다시 재검..
큰 변화 없다고 하심.. 대신 다음에 올때는 녹내장 전공인 임상 교수 출신 선생님 진료를 보라고 같은 안과의 다른 샘에게 트랜스퍼.

7. 3개월 후 해외 출장이 있어서 인공눈물 처방받으러 녹내장 전공 선생님께 진료 받음. 그 당시까지의 2년간 기록을 보고 녹내장은 아닌 것 같드고 혈압관리만 잘 하라고 하심.

8. 1년 후에 검사이지만 바빠서 2025년 4월에 2년 반만에 냐원함. 여전히 3번의 증상은 똑같았지만 큰 변화는 느껴지지 않았는데 최근들어 중심 시야 쪽으로 1-2미리 정도 뭔가 아주 가늘게 회색으로 가려지는 듯한 느낌이 들었다가 사라지고를 반복해서 내원함.

9. 같은 녹내장 전문의 선생님께 진찰 받고 2년 반에 비해서 오른쪽 시신경 벽이 더 얇으지고 손상아 됐다는 소견… 녹내장은 아니고 안압도 모두 정상..

질문 : 지방 광역시애서는 가장 좋은 안과라고 하는 곳인데, 따로 처방은 없고 그냥 혈압 관리+6개월 마다 검사.. 이게 결론이었습니다.. 최근 검사에서 듣기로는 혈압으로 혈관이 망가지고 새로생긴 혈관은 산소가 부족해서 신경 손상이 계속 될 수 있다는대요..

알아보니, 신생 혈관을 찾아서 주사로 없애거나 레이저 시술을 하는 등 방법이 있더라구요.. 서울쪽 매이저 병원으로 가서 OCT-A는 한번도 안 찍어봤으니 한번 시도해보고 여러가지 주사나 레이저 시술을 받는게 맞는지 따져보는게 맞을까요??

저는 자각 증상이 있는데 결론은 그냥 추적관찰+혈압 관리로 귀결되니… 더 이렇게 내 상태를 놔둬도 되는지도 불안하고… 정말로 고혈압성으로 시신경 손상이면 주사나 레이져 시술을 안 받고 혈압 관리만 하는 걸로 커버가 되는지 궁금합니다. 서울 매이저 병원으로 갈 실익이 있을까요??


answer Re : 고혈압에 의한 시신경 손상
이효석
이효석 전문의 밝은안과21의원 하이닥 스코어: 65
전문가동의 0 | 답변추천 0
안녕하세요. 하이닥 안과 상담의 이효석입니다. 고혈압성 망막손상으로 신생혈관이 생길 거 같으면 보통 망막 전문 원장님께서 형광안저촬영을 해보셨을 듯 합니다. 지방 광역시에서 제일 좋은 안과라면 분명히 형광안저촬영이나 OCT-A 를 구비하고 계실 듯 합니다. 그리고 고혈압성 망막손상의 일차 치료는 혈압을 잘 조절하고 다른 전신질환이 생기지 않게 관리하는 것 이기는 합니다. 다음 추적관찰 때, 글로 쓰셨던 내용을 한번 의사와 상의하시고, OCT-A나 형광안저촬영 등을 해보고 싶다고 말씀하시면 될 듯 합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