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닥

상담 목록

Question 자가면역질환

- 성별 :
- 혈압 :
- 키/체중 :  cm /  kg
- 가족력(가족, 친척의 건강, 질환 등) :
- 과거병력 :
- 상담내용 :

안녕하세요..
답답한 마음에 문의 드리고자 글 납김니다..

저는 직업이 임상병리사입니다..
그래서 일년에 한번씩은 가족들의 기본적은 혈액검사를 하고 있는데요.
8년 전 쯤 엄마의 cbc 결과가 뭔가 이상하는걸 처음 발견하였습니다
cbc에서 다른건 다 정상인데..
wbc 수치가 너무 낮고,
diff count 에서 neutrophil이 lymphocte 보다 %가 작더군요..
8년전부터..지금까지 항상 그러했다는거..ㅡㅡ;
wbc는 수치가 적게는 1500개에서 ..최고 많아야 2800개..사이였습니다..
diff count는 neutrophil이 20%내외... lymphocte가 60%내외...구요..
(PB Morphology 는 별다른 특이사항 없이 정상이었구요)
일반적인 기본 혈액검사는...다 정상이었구요..
개인내과를 가본적은 있지만..별다르게 생각안하시고..
괜찮다고..그냥 가라고 하셨다는군요..ㅠㅠ
다른 병을 앓고 계신다거나..생활에 불현하신것두 없으셨기에 그렇게 일년에 한번씩
체크만 해주면서 그냥 지내시다가..
도저히 원인도 모른채 계속 지낼수가 없어 작년에 대학병원 진료를 갔었습니다..
방문이유를 들으시곤..
원장님께서.. 여러가지 기본적인 혈액검사와 함께
ANA(Anti Nuclear Ab)검사도 했었는데.. ANA 에서 양성이 나왔습니다
하지만...그분도..일단 환자가 몸에 별다른 이상을 못느끼니..그냥 몇개월 후에
한번 더 체크만 해보자고 하시더군요..
그게 일년 전이었습니다..
그 후 6개월 후..우연한 기회에 갑상선 초음파검사를 하셨는데
초음파상 갑상선이 조금 거칠다는 소견과 함께 TSH가 기준치를 조금 넘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TSH는 그전엔 항상 정상 수치였는데, 이번이 마지막검사 후 일년 만에 한 검사였답니다)
또 다시..6개월이 지난 몇일 전.. ( ANA검사 일년후..죠..)
병원을 방문하지 않고..다시 한번 모든 피검사를 해보았습니다..
역시나..
wbc는 수치 2300개..(diff count도 lymphocte가 60% 이상...)
ANA(Anti Nuclear Ab)검사 양성
TSH 도 기준치보다 조금 놓은 수치..
다른기본검사 다 정상..

그리고..
엄마가 살짝만 부딪히거나..충격이 있어도..팔 다리에 멍이 너무 쉽게 들고요..
멍든 부위도 넓은 편..
쉽게 잠을 못드시고 성격이 예민한 편이셔서..
수면제나 신경안정제에 의존하셔야만 조금 편히 주무시는 편입니다..
키 153cm에 몸무게 43kg.. 나이는 1954년생으로 만54세 이십니다..
폐경은 8년전 부터...(조금 일찍 오신편이죠? )라..
처음엔 호르몬제를 드시다가...지금은 안드시고 계십니다..
그리고..
다른검사결과와는 별개로..정상치보다 높은 TSH수치에 대해서
갑상선약을 복욕해야 하나요? 그냥 방치해도 괜찮은건지...아님, 무슨조 치를 취해야하는지..
이 상황에..계속 그냥..두고만 봐도 괜찮은가요?
너무 답답한 마음에...문의 드립니다..
병원도...제가 엄마를 모시고 함께가서 진료받고 결과를 듣고 해야..속이 시원할텐데
사정상...함께 가지 못해보니 한계가 있더군요..
꼭 답변 부탁드립니다..




answer Re: 자가면역질환
이충원
이충원 전문의 의료법인기독교한국침례회의료재단왈레스기념 침례병원 하이닥 스코어: 0
전문가동의 0 | 답변추천 0
안녕하세요. 하이닥 류마티스내과 상담의 이충원 입니다.

이런 상황에서는 SLE대해서 정밀 검사가 요합니다.

ANA가 양성 일지라도 titer이 1:160이상 되어야 SLE를 의심 할 수 있습니다.
그 이하 일 지라도 ANA profiles
( anti-ds DNA Ab, Anti-Sm Ab, antRo/La antibody) 검사가 요합니다.
이런 항체가 양성이면 잠복기 lupus일 가능성이 많기 때문에
반드시 발병 예방이 필요 합니다.

과로, 감기, 자외선 장시간 노출을 피해야 합니다.

전문 류마티스 내과를 찾아 가십시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