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닥

상담 목록

Question 추간판 탈출증... 다시 재질문입니다..ㅜㅜ 조언부탁드리겠습니다.

- 상담내용 :

상해기여도 몇프로 정도 나올까요?

휴유장해 몇프로 지급될까요?

2008년 9월경 계단에서 넘어지면서 잠시 통증 있었으나 괜찬았습니다.

그러다가 2009년 1월경 빙판길에서 넘어지면서 다쳐

2월경 병원가서X-ray 촬영후

3월말 ct촬영

4월말 ct판독 소견으로 디스크 증세 있어 MRI촬영하자는 겁니다.

5월말 MRI촬영 실시후

9월중순 최초 군병원에서 s33.5 / m51.22  두가지 코드로 진단을 받았습니다.

그 이후 11월 D대학병원에서 진단을 받고, 수술을 시행하고

수술한 D대학병원에서 m512코드를 받고 보험회사에 청구 하였습니다.

그때 당시 보험 지급 을 받았을때는 재해로 처리해 줘놓고..

이제와서 그때 코드가 질병이라며 안해주려고 합니다.

진단명: 추간판 탈출증 요추4-5

수술은_요추4-5극간인대 고정술 시행함.

수술한 병원에서는 휴유장해가 안나온다고 합니다.

의사선생님께서도 하지 방사통이 없기때문에 무조건 안된다고하고

요추4-5번 사이에 IUX라고 해서 티타늄 소재의 금속물을 넣어 놨는데..;;

안된다고 하니.. ㅜㅜ

통증도 가끔 있고요..

그래서 타병원에서 휴유장해 진다서를 끈었습니다.

보험회사 측에서는 그때 질병코드로 받았기 때문에 휴유장해 보상이 안된다는 겁니다.

상해보험이 하나 있는데..

그쪽에서는 다친날로 부터 180일 이내 치료를 안했기 때문에 상해처리도 안된다는 겁니다.

수술비고 입원비고 한푼도 못받앗습니다.

타보험사는 휴유장해 부분은 사고일로 180일 이내라며 안주려고 합니다.

아시는 분께서 상해 기여도를 받으면 된다고 하시는데...

타병원에서 휴유장해를 끈으면서

병명:제 4-5요추 극간인대 고정술

AMA방식으로 끈었구요

흉요추부 운동범위(정상각도)

전굴 0-60 (0-90)  후굴0-10((0-30)

좌굴 0-10 (0-20)  우굴0-10(0-20)

좌회전 0-30(0-30) 우회전0-30(0-30)

받았습니다.

제가 군인인지라 마음대로 병원을 갈수도 없는거 아니냐며 이야기는 했지만..

일단 서류를 보내달라고 합니다..

상해 기여도를 받아서 다시 진단서를 보내려고 합니다.

공무상병인증서에도 사고 내용도 있지만...

수술한 병원가보니...2008년9월에 계단에서 다친거로만 돼있더군요..ㅜㅜ

09년 1월에 다친 내용은 없습니다..

외부병원에서 수술이후 군병원 간호기록일지에는 08년 9월경 다친거랑 09년 1월에 다친게 기록은 돼있는데

공무상병인증서 가지고 수술한 의사선생님께 가서 상해기여도좀 써달라고 했더니..

그거는 보험회사 측에서 판단할 문제이지 자기는 절대 못써준다는 겁니다..

금속물 삽입도 돼있는데 절대 휴유장해도 안나온다고 하고요..

극간인대 고정술 시행하였구요..ㅜㅜ

허리굽힐때 왼쪽으로 하지 방사통이 조금 있기도 한데..ㅜㅜ

정말 답답합니다.. 많은 조언 부탁드리겠습니다.

=======================================

질문입니다.

1. 디스크 수술후 상해로 다쳤을시 휴유장해 무조건 혜택이 되나요?

  저같은 경우는 요추4-5번 극간인대 고정술 시행

2. 상해일로 부터 180일 이내 치료를 안했기 때문에 지급이 안된다고 하는데

  정말 안되나요?

3. 보험회사 약관에 몇프로 지급률에 해당이 되나요?

4. 다친거는 09년1월인데 09년11월에 수술을 했기 때문에 보상이 안되는 쪽으로 보험회사측에서는 안주려는거 같은데 어떡하죠?

5. 저같은 경우 AMA 방식으로 받아야 하는건지 약관상의 %(퍼센트)유지로 받는건지?

6. 제가 생각햇을때 저는 장해 분류표상 3,6,8,9에 속하는거 같은데...

  저는 해당사항이 어디에 제일 맞나요?

7. 우체국 보험 청구 당시에 지급을 받았을때는 재해로 처리해 줘놓고.. 

  이제 와서는 그때 보험청구 당시에 코드가 질병이라며 안해주려고 합니다.

  휴유장해 보험 지급 확실하게 돼겠죠?

8. 현재 상태는 허리 굽힐때 왼쪽 골반쪽 통증이 있기도 합니다..

  금속물 까지 삽입해 놓은 상태인데 휴유장해가 안나오나요?

9. 저 같은 경우 수술전  MRI판독 상태를 판단해서

  상해 기여도를 따진다고 하는데... 몇프로 정도가 나올지 ?

  그리고 디스크 부분이 검은색을 많이 띠는지?

  흰생을 많이띠는지 궁금합니다.

9. 수술하신 선생님께서는 상해 기여도 같은 경우는 절대 못해주겠다고 하시면서 그거는 보험회사측에서 판단할 문제라고 하시네요...ㅜㅜ 이럴경우 어떡해야 하는지.. ??정말 답답합니다... 
휴유장해 진단서 같은 경우도 자기는 절대 못해준다고 합니다..  다른병원가서 휴유장해 진단서를 AMA 방식으로 진단서 발급받아서 보험회사 제출하였더니
보험회사에서 같이 병원에 내원해서 수술한 의사선생님께 가서 휴유장해부분과 상해 기여도 부분에 있어 물어 본다고 하는데... 보상받는데는 지장이 없겠죠? 의사선생님은 무조건 안된다고 할텐데...
이런 경우 어떤 절차로 받아야 하는지...ㅜㅜ

================================================================

척추(등뼈)의 장해

가.장해의 분류

장해의 분류 /지급률 (%) 
1)척추(등뼈)에 심한 운동장해를 남긴 때   /40

2)척추(등뼈)에 뚜렷한 운동장해를 남긴 때  /30
3)척추(등뼈)에 약간의 운동장해를 남긴 때  /10
4)척추(등뼈)에 심한 기형을 남긴 때  /50
5)척추(등뼈)에 뚜렷한 기형을 남긴 때   /30
6)척추(등뼈)에 약간의 기형을 남긴 때   /15
7)심한 추간판탈출증(속칭 디스크) /20
8)뚜렷한 추간판탈출증(속칭 디스크)    /15
9)약간의 추간판탈출증(속칭 디스크)    /10

-

나.장해판정기준
1)척추(등뼈)는 경추(목뼈)이하를 모두 동일부위로 한다.
2)척추(등뼈)의 장해는 퇴행성 기왕증 병변과 사고가 그 증상을 악화시킨 부분만큼, 즉 본 사고와의 관여도를 산정하여 평가한다.
3)심한 운동장해
척추체(척추뼈 몸통)에 골절 또는 탈구로 인하여 4개 이상의 척추체(척추뼈 몸통)를 유합 또는 고정한 상태
4)뚜렷한 운동장해
① 척추체(척추뼈 몸통)에 골절 또는 탈구로 인하여 3개의 척추체(척추뼈 몸통)를 유합 또는 고정한 상태
② 머리뼈와 상위경추(상위목뼈: 제1,2목뼈)간의 뚜렷한 이상전위가 있을 때
5)약간의 운동장해
척추체(척추뼈 몸통)에 골절 또는 탈구로 인하여 2개의 척추체(척추뼈 몸통)를 유합 또는 고정한 상태
6)심한 기형
척추의 골절 또는 탈구 등으로 인하여 35 이상의 전만증 및 척추후만증(척추가 뒤로 휘어지는 증상)또는 20 이상의 척추측만증(척추가 옆으로 휘어지는 증상)변형이 있을 때
7)뚜렷한 기형
척추의 골절 또는 탈구 등으로 인하여 15 이상의 전만증 및 척추후만증(척추가 뒤로 휘어지는 증상)또는 10 이상의 척추측만증(척추가 옆으로 휘어지는 증상)변형이 있을 때
8)약간의 기형
1개 이상의 척추의 골절 또는 탈구로 인하여 경도(가벼운 정도)의 전만증 및 척추후만증(척추가 뒤로 휘어지는 증상)또는 척추측만증(척추가 옆으로 휘어지는 증상)변형이 있을 때
9)심한 추간판탈출증(속칭 디스크)
추간판탈출증(속칭 디스크)으로 인하여 추간판을 2마디이상 수술하거나 하나의 추간판이라도 2회이상 수술하고 마미신경증후군이 발생하여 하지의 현저한 마비 또는 대소변의 장해가 있는 경우
10)뚜렷한 추간판탈출증(속칭 디스크)
추간판 1마디를 수술하여 신경증상이 뚜렷하고 특수 보조검사에서 이상이 있으며, 척추신경근의 불완전 마비가 인정되는 경우
11)약간의 추간판탈출증(속칭 디스크)
특수검사(뇌전산화단층촬영(CT), 자기공명영상(MRI)등)에서 추간판 병변이 확인되고 의학적으로 인정할 만한 하지방사통(주변부위로 뻗치는 증상)또는 감각 이상이 있는 경우
12)추간판탈출증(속칭 디스크)으로 진단된 경우에는 수술여부에 관계없이 운동장해 및 기형장해로 평가하지 아니한다.



answer Re: 추간판 탈출증... 다시 재질문입니다..ㅜㅜ 조언부탁드리겠습니다.
배광주
배광주 전문의 참조은병원 하이닥 스코어: 3
전문가동의 0 | 답변추천 0
안녕하세요. 하이닥 신경외과 상담의 배광주 입니다.
 
환자분의 질문은 지난번과 질문 내용이 똑 같으며 답변 역시 지난번 내용을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문의에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