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닥

상담 목록

Question 허리디스크 재발했어요 부탁드립니다 ㅠㅠ

디스크가 재발하여 오늘 전문병원에 갔다왔습니다. 제 디스크와 관련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2000년 디스크판정

2009년 9월 쓰러져서 일산병원으로 후송 - 마약진통제도 처음에 듣지 않을정도로 통증심함 일산병원에서 4-5번 절개수술시행.

2009년 10월부터 재활운동 시행. 헬스장 이용등록 후 데드리프트 및 자전거등 근력강화 운동에 초점을 두고 시행.

이후 2010년 겨울에는 80kg의 데드리프트를 성공할정도로 근력이 좋아졌고 겨울 스노우보드도 아무 통증없고 즐겁게 즐길정도의 건강을 되찾았습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2012. 7월 축구하다가 삐끗한 느낌을 받음 (당시 운동을 거의 안하던 상태)

2012. 8월 원당 ㅇㅅㅎ병원에서 ct촬영 및 적외선체열촬영을 하여 디스크판정을 받고 상담받음. 원장님께서 수술하면 또 그러니깐 근본적인 치료가 필요하다고 하셔서 프롤로 시술 8회정도 받으면 좋아질거라고 함.

2012.9월3일 프롤로 시술 6회째. 퇴근후 허리가 아픔. 다리에 힘이 축빠짐.

2012.9월4일 하루종일 다리가 저림.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증상

상태가 호전될시 걷거나 뛰는것도 가능합니다. 몇일에 한번꼴로 다리에 힘이 쭉빠지고.

심하게 가슴이 두근거리고 허리가 뜨끔뜨끔 거립니다.

하늘보고 만세자세를 취하면 4-5번 부분이 찌릿거림이 있습니다.

운전할 때 특히나 자세불편함이 심하고 다리저림이 심합니다.

자가테스트로 누워서 다리올리기를 하면 무리없이 쭉쭉올라갑니다.

또한 이번에 날씨가 비가왔다가 갯다한날이 몇 번이고 반복됬었는데... 확실히 비오는날 아픔이 뚜렷하게 나타납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저는 디스크파열진단으로 너무 극심한 고통을 느껴본지라 지금 사실 생각해보면 전에 수술하기전에 가끔아파오던 허리보다는 안아픈거 같지만. 무엇보다도 그 공포심 때문에 일단 mri로 정확하게 촬영을 하려고 병원에 방문했습니다..

프롤로 시술과 운동을 병행하면 나아질수 있을꺼라는 저에대한 확신이 있었지만.. 느낌에 너무 예민해져서 지금 극도의 불안감을 느끼고있습니다.

일단 mri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왔습니다.

일단 허리디스크 환자들 모임 카페에 글을 올렸는데 의견은 분분 한 상태라 일단 대학병원을 가봐라 라고 말씀을 해주시는데.

전문병원에서는 내시경레이져 수술을 권해줬던 상태이구요. 본인은 가급적이면 수술을 하고 싶지 않습니다. 하지만 결론적으로 수술밖에 답이 없는 상태라면 이렇게 참고있지 않고 하루라도 빨리 탈피하고 싶습니다.

수술을 해야 될지 말아야 될지 답변부탁드려요 ㅠㅠ




answer Re :허리디스크 재발했어요 부탁드립니다 ㅠㅠ
남경훈
남경훈 전문의 등편한신경외과의원 하이닥 스코어: 0
전문가동의 0 | 답변추천 0
안녕하세요 하이닥 신경외과 상담의 남경훈 입니다.

제 4-5요추부의 디스크는 5번신경의 증상으로 나타나며 요통을 동반합니다. 그리고 신경압박이 심해질 경우 발목이나 발가락의 근력저하가
올 수 있습니다.
현재 말씀하신 증상중 디스크와 연관된 증상은 요통과 다리의
저림증상입니다. 몇일에 한번꼴로 다리에 힘이 쭉빠지고.
심하게 가슴이 두근거리고 허리가 뜨끔뜨끔 거리는 증상은 디스크와
연관된 증상으로 보기에는 가능성이 떨어집니다.

또한, MRI의 모든 컷을 보지 못해 한계가 있습니다만, 수술 후 상태라는
점을 고려했을때 압박정도도 아주 심해보이지 않습니다.

아직은 수술보다는 신경차단술이나 운동요법등의 보존적 치료를
더 해보시길 권해드립니다.

다리의 저리고 아픈증상은 다양한 신경차단주사로 해결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고, 디스크성으로 오는 요통의 경우는 프롤로 테라피도 좋지만,
급성으로 통증이 심할경우는 진통제등의 약물 치료, 주사 치료를 병행하시고, 통증이 감해지면 장기적으로 등근육을 강화시키는 운동을 통해
디스크로 가해지는 압력을 줄여 치료효과를 유지 하시는게 좋을것으로
생각됩니다.

온라인 상담으로는 환자분의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기에는 한계가 있어,
현재 치료받으시는 선생님과 한번 더 상의해보시고 최선의 치료를
받으시길 바랍니다.

질문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