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닥

상담 목록

Question 간농양
아버지께서 간농양으로 입원을 하셨습니다.
현재 간에 관을 삽입하여 배액 중이십니다만, 고름이 현재 완전한 액체 상태나 아니어서 고름이 밖으로 잘나오지 않고 있습니다. 현재 항생제 투여를 하시면서 치료를 받으십니다. 항생제 치료를 받다보면 고름이 액체 상태로 변해서 밖으로 잘나올수 있는건가요? 고름이 빠지지 않을 경우 어떻게 치료가 되는 건가요?


answer Re : 간농양
김주일
김주일 전문의 연세휴내과의원 하이닥 스코어: 114
전문가동의 0 | 답변추천 0
보통 간농양의 치료는 상황에 따라 그때그때 판단하여 최선의 치료를 하면서 하게 됩니다.
현재 상태나 CT 등의 영상, 혈액 검사등을 알지 못해 정확한 답변을 드리지 못함을 미리 양해구합니다.

크기가 어느 정도 되는지 모르겠으나 아주 크지 않고 액화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항생제 투여만로도 치료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고름을 말려버리는 거라고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피부에 종기가 났을 때 짜는 경우도 있지만 연고를 바르면 종기가 점점 작아지면서 없어지는 경우도 있는데 그런 것과 비슷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리고 기왕에 관을 넣은 것 배액이 잘되면 좋겠지만 액화되어 있지 않아 배농이 안된다 하더라도 관을 넣음으로서 공기가 통하게 됩니다. 이런 경우 만약에 혐기성 균이 있었다면 공기를 통해준 것만으로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아마도 치료 도중 CT 재검사 등을 통해 현재 치료를 평가하게 되고 농양의 크기도 줄고 혈액검사나 증상이 호전되면 항생제 치료를 유지하게 될 것입니다. 하지만 그렇지 않다면 추가적인 배액관 삽입을 고려할 수도 있으며 매우 드물지만 경우에 따라 수술적 치료를 고려하게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한 것들은 주치의 선생님이 경과를 보면서 판단하시게 될 것입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answer Re : 간농양
정필
정필 전문의 좋은문화병원 하이닥 스코어: 2
전문가동의 0 | 답변추천 0
안녕하세요
간농양의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벽이 형성되고 고름이 액화될수가 있습니다. 아직 치료 초기 시면 조금더 기다려 보시면 됩니다. 시간이 지나도 배액이 잘 안되면 일단 초음파검사를 다시 해보고 농양의 벽이 형성이 안되고 액화가 안었거나 농양안에 격벽이 생성되었다면 다른 배액관을 추가 하는 것을 고려해볼수 있습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