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하이닥 운동상담사 이윤빈 입니다.
WHO(세계보건기구)에서 권장하는 1개월 단위에 감소량은 1.5 ~ 2 kg 입니다. 이를 1년 동안 꾸준히 시행하신다면, 최대 24 kg 까지 감량 할 수 있는, 방대한 양이며, 이러한 경우 인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 적습니다. 현재 질문자님의 경우 너무 빠른 감소량을 보였습니다.
다이어트는 필수영양소(지방, 탄수화물, 단백질)을 모두 섭취하는것이 인체내에 무리를 주지 않고 요요확율을 낮출 수 있습니다. 만일, 한가지 영양소를 집중적으로 섭취한다면 영양불균형으로 인한 체중은 감소가 되지만 지방량보단 근육량과 수분의 감소가 높게 나타남으로 효율적이지 못하며, 인체에 부적적인 영향으로 빈혈, 신경과민증 등으로 영양상태가 붕괴되며, 다이어트 후 다른 영양소를 섭취한다면 인체는 최대로 그 영양소를 체내에 저장하려 합니다.
유산소운동 외 무산소운동(근력운동)을 같이 병행하시어 근육량을 높이고 근력을 기르는 것을 신경쓰셔야 합니다. 유산소운동으로 인체의 기초적인 근육과 근력은 기를 수 있으나 국한되 부위만 높일 수 있며, 지방감소 후 피부의 탄력이 낮아지는 현상이 발생됩니다 .무산소 운동의 경우 기초체력을 향상 시킬 수 있으며, 더욱 다양한 운동을 무리 없이 진행 할 수 있습니다. 또한 근육에 탄성을 줌으로 피부늘어짐을 막을 수 있습니다.
운동형태를 바꾸는 것으로 감소량을 촉진 할 수 있습니다. 운동형태란, 운동종목의 변형 또는 운동강도를 높이는 방법, 운동시간을 늘리는 방법이 있겠습니다. 섭취량은 보전 및 늘리셔서 체내 에너지량을 확보하고, 출력량을 높인다면, 체내의 컨디션을 회복할 수 있고 고강도의 운동이 가능해 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