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닥

상담 목록

Question 혈압계를 보면 괜히 긴장되어 혈압을재면 144/86 심박100이에요
2년사이에 혈압이 20이나 올랏어요. 그래서 혈압계를 보면 괜히 긴장되어 혈압을재면 144/86 심박100이에요
여러번재어도 155/90 102 어쩔때는 135/86 심박100 138 86 심박98
이래요..살이진거같아 2키로정도 감량햇는데 변화가없어요.. 뭐 불쳔한곳은없는데 괜스레 건강이 걱정되네요 뇌동맥류 유전있어요 25살인데 저에게도 벌써 생겼을수가 있나요?


answer Re : 2년사이에 혈압이 20이나 올랏어요. 그래서 혈압계를 ...
양희호
양희호 전문의 나우리가정의학과의원 하이닥 스코어: 3
전문가동의 0 | 답변추천 0
안녕하세요, 하이닥 가정의학과 상담의 양희호 입니다.

혈압이 상승하여 걱정이시군요.

고혈압의 기준은 일반적으로 140/90이상으로 생각하지만 현재는 기준을 좀더 내려 130/80이상으로 생각하기도 합니다. 현재 상기 혈압과 심박수를 보면 혈압도 높고 심박수도 빠른 편입니다.

체중 증가로 인해 혈압이 상승하였을 수도 있으며 스트레스, 수면부족, 잘못된 식이습관 등으로 혈압이 상승하였을 수도 있습니다. 현재 키와 체중으로 판단하면 비만도인 BMI 24.77 로 과체중에 해당됩니다. 일반적으로 체중의 5-10%정도가 감량되면 고혈압과 당뇨, 고지혈증 등의 성인병이 호전될 수 있다고 판단하며 현재 2kg 감량보다는 좀더 많은 5kg 정도의 감량이 필요하다고 판단됩니다.

젊은 사람의 경우에도 대사증후군 발생이 늘고 있으므로 검진 시에 혈당, 콜레스테롤에 대한 검사도 필요하다고 판단됩니다. 적절한 운동, 스트레스완화, 식이요법 등을 병합하여 혈압을 내리는 것이 필요합니다.

물론 백의고혈압, 2차성 고혈압, 혈압이 상승할 수 있는 내과적 문제 등에 대한 감별이 필요할 수 있으므로 24시간 혈압측정과 혈액검사 등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뇌동맥류에 고혈압이 좋지 않은 것은 사실이나 현재 질문하신 분의 나이 등을 고려할 때 가능성은 높지 않아 보이지만 걱정이 심할 경우 뇌혈관 CT, MRI 등의 검사를 해보시는 것도 도움이 되겠지만 어디까지나 담당 의사분의 진료와 상담 결과에 따라 시행하실 것을 추천합니다.

우선 고혈압에 대한 정확한 진단이 필요하므로 가까운 의원을 방문하시어 진료를 보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answer Re : 2년사이에 혈압이 20이나 올랏어요. 그래서 혈압계를 ...
최해현
최해현 하이닥 하이닥 스코어: 4
전문가동의 0 | 답변추천 0
안녕하세요, 하이닥 운동상담사 최해현 입니다.

혈압 모니터링과 더불어 운동을 꾸준히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심폐기능을 강화할수록 심장에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 심박출량이 증가하여 심장의 효율성이 증가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운동을 많이 하면 할수록 심장 근육이 발달되고 이는 심장활동 능력과 심폐체력 향상으로 이어져 안정 시 심박수가 적어지며 건강할수록 심박수가 감소하며, 대신 1회 박동 시 혈액을 박출하는 심박출량이 많아집니다.

그리고 혈압은 신체적 활동으로는 4-9mmHg, 적당한 음주(하루1-2잔)로는 2-4mmHg, 고혈압 관리 식이요법으로는 8-14mmHg, 체중 10kg 감량할 때마다 5-20mmHg 저하된다고 합니다. 고혈압 환자는 처음에 운동을 하게 되면 혈압이 상승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혈압을 낮추게 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하루 30분동안 3-6개월의 기간을 두고 꾸준한 운동과 약물, 식이요법을 병행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answer Re : 2년사이에 혈압이 20이나 올랏어요. 그래서 혈압계를 ...
박예리
박예리 영양사 -(프리랜서로 근무중) 하이닥 스코어: 11
전문가동의 0 | 답변추천 0
안녕하세요, 하이닥 영양상담사 박예리 입니다.

혈압관리를 위해 염분 섭취량을 줄일수 있는 방법 알려드립니다.

1. 먼저 평소에 자극적인 음식을 선호하셨다면 소금이나 간장 등 양념보다는
후추, 고추, 고춧가루, 마늘, 파, 부추, 피망, 생강, 양파, 카레가루, 겨자, 고추냉이 등 향과 맛이 강한 양념을 사용해보세요!
2.. 참기름, 들기름 등의 향이 강한 식물성 기름과 볶은 깨,호두 등을 소량 이용하여 고소한 맛을 강조합니다.
3. 식초, 레몬즙, 유자즙을 적절하게 이용하여 신맛과 특유의 향을 강조합니다.
4. 음식은 뜨거울수록 짠 맛이 덜 느껴지므로 될 수 있으면 시원하게 조리합니다.
5. 한 가지 음식에만 집중적으로 간을 하여 싱거운 음식과 함께 조화를 이룰 수 있게 하며, 일품식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6. 저염 간장이나 저염 된장 또는 저나트륨 소금을 이용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7. 음식에 간을 하지 않고 간장을 물로 희석한 양념장을 이용합니다.
8. 국물은 싱겁게, 건더기 위주로 섭취합니다.
9. 식사 바로 전에 간을 하면 짠맛을 더 느낄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