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하이닥 가정의학과 상담의 홍인표입니다.
흉부 CT에서 발견된 "간유리 결절(Ground-Glass Nodule, GGN)"에 대해 궁금하시군요. 간유리 결절은 CT 영상에서 폐 조직이 마치 **간유리(흐릿하고 반투명한 유리)**처럼 보이는 음영을 의미합니다. 이는 폐포 내에 공기가 완전히 차지 않은 상태, 즉 부분적으로 채워진 상태를 반영합니다.
간유리 결절의 원인:
간유리 결절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그 원인에 따라 임상적 중요성과 치료 필요성이 달라집니다. 흔한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감염: 바이러스성 폐렴, 마이코플라즈마 폐렴, 폐포자충 폐렴 등 감염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감염 치료 후 결절이 사라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염증성 질환: 특발성 간질성 폐렴(IIPs)의 한 종류인 박탈성 간질성 폐렴(DIP), 림프구성 간질성 폐렴(LIP), 과민성 폐렴 등 염증성 질환의 초기 소견일 수 있습니다.
출혈: 폐포 내 출혈로 인해 간유리 결절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양성 종양: 폐의 양성 종양의 일부로 간유리 결절 형태를 보일 수 있습니다.
전암성 병변 또는 초기 폐암: 일부 비침습성 폐암(예: 선암종 내 세기관지 폐포암종, AIS)이나 최소 침습성 선암종(MIA)이 간유리 결절 형태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특히 크기가 크거나, 내부 성분이 고형으로 변하는 경우(mixed GGN), 시간이 지남에 따라 크기가 커지는 경우 악성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섬유화: 폐 섬유화의 초기 단계에서 간유리 결절이 관찰될 수 있습니다.
흡연 관련 질환: 흡연과 관련된 호흡기 세기관지염(RB-ILD), 박탈성 간질성 폐렴(DIP) 등에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
기타: 폐부종, 약물 부작용 등 다양한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바로 병원 치료를 받아야 하는가?
단순히 "간유리 결절이 발견되었다"는 사실만으로는 즉시 응급 치료가 필요한 경우는 드뭅니다. 하지만 간유리 결절의 임상적 중요성은 **크기, 모양, 개수, 동반 소견, 변화 여부, 환자의 임상적 배경(흡연력, 기저 질환 등)**에 따라 크게 달라집니다.
따라서 반드시 병원을 방문하여 전문의의 진료를 받고 추가적인 검사 및 관리를 받으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