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닥

상담 목록

Question 27살 남자이고 키는 170cm에 몸무게가 87~88 추천해주실 만한 운동 부탁드립니다.
27살 남자이고 키는 170cm에 몸무게가 87~88 정도로 상당히 비만인 상태입니다. 식욕 조절을 못해 체중이 계속 줄지않고 있는데 작년 11월~올해 2월까지 스쿼시라는 운동을 하다가 너무 열중한 나머지 스윙을 하다가 오른쪽 팔이 빠졌습니다. 팔이 빠진 날은 2월 11일인가로 기억합니다.
119 를 불러 응급실에서 팔을 다시 끼우고 바로 엑스레이만 한컷 찍고 들어간거 보고 다른 사진은 찍지않았습니다. 그때가 휴일이어서 응급실 의사는 평일중으로 병원가서 정확하게 MRI를 찍어보라고 하였지만 비용등 문제로 찍지않았습니다.
팔은 태어나서 처음 빠진거고 일상생활에 큰 지장이 없어서 지금 한 3개월 지날때까지 그냥 뒀는데 거의 한 일주일 빼고는 크게 아프지도 않고 한번씩 욱씬거리는거 빼곤 괜찮은데 다시 운동을 시작할까해서 어떡할지 전문가분들의 조언을 구합니다.
운동은 클라이밍을 해볼까 생각중인데 어떨까요?
제 몸에 운동은 시급합니다. 체중 때문에 무리갈까 싶기도 하고 주변에서는 무리안가는 수영 같은걸 권하는데 추천해주실 만한 운동 부탁드립니다.


answer Re : 27살 남자이고 키는 170cm에 몸무게가 87~88 ...
김재호
김재호 전문의 HiDoc 하이닥 스코어: 243
전문가동의 0 | 답변추천 0
안녕하세요, 하이닥 재활의학과 상담의 김재호 입니다.

제가 드리고 싶은 말씀은 두가지 입니다.

하나는 처음 어깨가 탈구된 것이라면 MRI찍어보는 것이 좋습니다.
인대나 힘줄 손상등 다른 손상도 동반되었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두번째는 클라이밍보다는
바른 자세로 걷는 것을 추천합니다.
천천히 걸었다가 빨리 걸었다 하는 방법이고요
처음부터 너무 무리하지 마시고
구체적인 자세, 시간, 방법 등은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만약 체중조절이 목적이라면 남성의 경우
식이조절(야식, 술, 간식, 안주 등) 반드시 하면서
유산소 운동, 대근력강화운동으로 조절하셔야 합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answer Re : 27살 남자이고 키는 170cm에 몸무게가 87~88 ...
송미현
송미현 영양사 서울365mc병원 (현재퇴사) 하이닥 스코어: 5
전문가동의 0 | 답변추천 0
안녕하세요, 하이닥 영양상담사 송미현 입니다.

체중감량이 목적이시라면 식사조절이 필수입니다.
체중감량 식사원칙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1. 가능한 매끼 탄수화물, 단백질, 섬유소 모두가 포함된 식사를 하시기를 바랍니다.
2. 짜지않게 식사하시기 바랍니다 (국물, 장아찌, 젓갈 등의 섭취를 자제하시기 바랍니다).
3. 1일 2회 이상 신선한 채소(생채소, 쌈채소, 샐러드 등)를 드시기 바랍니다.
4. 탄수화물로만 구성된 식사는 피하시기 바랍니다(예: 국수, 떡, 빵, 분식류, 주먹밥, 김밥 등).
5. 단 간식, 단 음료의 섭취를 줄이시기 바랍니다.
6. 천천히 식사하시기 바랍니다(1끼 최소 15분 이상).
7. 너무 늦은 시간에 음식을 섭취하지 않으시기 바랍니다 (취침 4시간 전에는 식사를 마치도록 합니다).
8. 1일 2리터의 물을 섭취하시기 바랍니다.
9. 음주는 가급적 피하시고, 피할수 없는 경우에는 1~2잔 이내로 드시기 바랍니다.

특히, 현재와 같은 상황에서는 3번 원칙을 우선적으로 실천하시면 많은 도움이 되리라 예상됩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answer Re : 27살 남자이고 키는 170cm에 몸무게가 87~88 추천해주실 만한 운동 부탁드립니다.
최해현
최해현 하이닥 하이닥 스코어: 4
전문가동의 0 | 답변추천 0
안녕하세요, 하이닥 운동상담사 최해현 입니다.

질문자님의 신체질량지수(BMI)는 30.1로 고도 비만에 속합니다. 신체 컨디션으로 운동의 강도를 높이지 못하는 경우 걷기, 수영, 필라테스 등의 저강도 운동을 권합니다. 전신 운동에 좋은 저강도의 운동을 하는 것이 지방을 소비하고 근육량을 늘리는 데 도움이 되며 몸에 무리를 주지 않고 지속적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몸의 기초대사량을 높여 전신 건강에 좋습니다. 그러나 수영의 경우 어깨 관절 이상, 즉 탈구가 잘 일어나고 어깨 근육통이 발생하므로 전문의의 진료를 통해 치료 후 운동을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