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닥

상담 목록

Question 근데 몸무게가 늘지도 줄지도 않습니다
47세, 남, 177cm, 103kg입니다. 사무.운영 업무

1. 오전
출근시 대중교통(주3회)또는 자가운전(주2회)로 왕복2시간이 걸립니다. 아침식사는 대중교통이용시에는 빵1개과 우유200ml를 먹거나 자가운전시에는 밥과 찌게를 먹기도 합니다.
2. 점심
서류업무와 민원업무를 병행하며, 스트레스는 낮추려고 마인드컨트럴을 하는 중입니다. 식사는 영양사가 있는 직원식당을 이용합니다. 메뉴는 보통 면(냉면,우동,국수,파스타 등)류를 선택해서 먹습니다.
3. 저녁
저녁은 퇴근후 8시에 집에서 먹습니다. 회식은 주1회정도. 술은 주1~2회 맥주500cc를 마셨는데, 최근에 더워서 포도주1~2잔으로 대체했습니다.
식사후 7살 딸과 놀다가 아내랑 1시간 동안 5km를 주5회 이상 걷습니다. 뛰면 무릎, 관절 등에 영향을 줄까봐 걷기를 하고 있습니다.

근데 몸무게가 늘지도 줄지도 않습니다. 배와 허벅지가 다른 시람보다 크고, 내장지방이 많다고 합니다. 제가 어떻게 관리해야할까요?


answer Re : 근데 몸무게가 늘지도 줄지도 않습니다
조혜리
조혜리 영양사 정관보건지소 하이닥 스코어: 10
전문가동의 0 | 답변추천 0
안녕하세요, 하이닥 영양상담사 조혜리 입니다.
요요없이 건강하게 올바르게 관리하시려면 식단,운동을 적정하게 병행하시면서 관리하셔야합니다.
끼니별 단백질은 150g씩 섭취해 주시고 식이섬유소는 2가지씩 끼니별 섭취해 주시면 건강을 챙기면서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쉬운 예로,
아침 : 고구마 100~150g(주먹크기 1.5개), 저지방 흰우유 200ml, 견과류 10알
점심 : 현미 콩밥 1/2~2/3공기(잡곡밥), 단백질 1종류(120~150g), 채소 3가지
저녁 : 현미 콩밥 1/2(잡곡밥), 계란 2개, 방울토마토 10알, 파프리카 1개(단백질 1가지:100~120g+채소 2가지)
중간에 간식으로 과일 1가지, 플레인 요거트 180ml(흰색: 당함량 낮은 것)
위에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식사시간텀은 4시간 정도 두시는게 좋구요.
-> 아침, 점심 바꾸셔도 무방합니다.

물론 저녁에 닭가슴살 샐러드로 중량에 맞게 들어가면 좋구요.(주3회단위로는 탄수화물제한)
아침식사를 하지 않을 경우 점심과 저녁간의 시간 텀은 5시간 이상 길어진다면, 우유, 견과류, 과일 한가지를 간식으로 넣으셔도 됩니다.

또한 주무시기 3시간 전 공복상태를 유지하시고, 음식과 수분시간 텀은 1시간 이상 두시며 수분은 순수한 수분으로 하루 1.5리터 이상, 식간시간 텀을 5시간으로 관리하시면서 식단을 조절해 보세요.

야식과 밀가루 음식을 섭취하지 않고 건강한 음식들로 구성해서 관리하시면 체중감량은 반드시 됩니다.
하루 한시간씩 유산소, 스트레칭을 주 5회 이상 꾸준히 하시면 도움이 되실 거에요.

참고하셔서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answer Re : 근데 몸무게가 늘지도 줄지도 않습니다
최해현
최해현 하이닥 하이닥 스코어: 4
전문가동의 0 | 답변추천 0
안녕하세요, 하이닥 운동상담사 최해현 입니다.

질문자님의 신체질량지수는 약 32.88로 고도비만에 속합니다. 내장비만 관리에서 가장 좋은 운동인 ‘유산소 운동’을 권해드립니다. 유산소 운동은 운동 중 산소를 몸 속으로 받아들여 우리 몸 속에 축적된 중성지방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해 연소시킵니다. 매일 20~30분 정도 꾸준히 하면 내장지방을 연소시킬 수 있습니다.

갖고 계신 특별한 질환이 없다면 걷기와 조깅, 자전거 타기, 등산, 계단 오르기, 에어로빅, 수영 등의 유산소 운동을 추천드립니다. 유산소 운동 전 주의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운동 전 부상 방지를 위해 근육을 이완시키고 체온을 약간 상승시키는 준비운동을 시행합니다.
2. 운동 중 수분이 부족하지 않도록 하되, 물로써 수분을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3.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등 만성질환이 있는 경우 몸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주치의와 운동방법과 운동시간에 대해 상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