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닥

상담 목록

Question 귀 및 두피 통증(두통)
저번 주 목, 금부터 두피와 귀 안에서 간헐적인 통증이 있습니다.
두통은 머리를 위에서 봤을 때 십자선으로 가르면 왼쪽 앞부분이고 중심부 일부입니다. 머리칼을 쥐어서 잡아당기는 듯한 민감함과 욱신거림이 있습니다.
손으로 머리를 넘기는 작은 터치에도 통증이 반응합니다.
계속 두드리면 두드리는 대로 나타나지는 않습니다.

귀는 중이염이 있을 때처럼 욱신거리는 통증과 유사합니다.

목, 어깨가 안 좋은 편이라 병원 가기 전에 이것저것 찾아보다가 신경외과로 방문을 했습니다.

두피에서 외관상으로는 의심되는 부분이 없고, 귀 안도 도구로 봤을 때는 확인이 안 되니 이비인후과 방문을 권했습니다.

혹시나 해서 X-ray를 찍어보자고 요청했고, 약간의 일자목이 있지만 크게 변형은 없고 뼈 사이 간격은 넓다, 승모근이 단단히 뭉쳐있다고 했습니다. 물리치료를 받아 온찜질과 마사지, 전기치료를 해서 근육은 약간 풀렸지만 두피 통증은 별다른 호전이 없었습니다.


목, 어깨의 긴장이 원인일 수 있다고 해서 이완제와 소염제를 처방 받았고, 그게 아니라면 수포가 없는 대상포진일 수도 있겠다고 합니다.
구토감이나 자다가 깨는 증상 등은 없어서 뇌의 문제는 아닐 것이라 합니다.

이비인후과에서는 귀 내시경을 봤지만 왼쪽은 귀지도 없이 깔끔하고 대상포진의 의심되는 수포도 없었습니다. 반대도 귀지만 제거하고 깔끔했습니다. 당장 눈에 띄는 원인은 없는 것 같다고 합니다.

통증이 계속된다면 원인이 귀 안쪽에 있거나 턱, 경추 등의 신경에 의한 방사통일 수도 있겠다고 합니다.
(안 되면 CT를 찍어서 확인해야 할 것이라 함)

신경외과(두통)와 이비인후과(귀 통증) 확인을 해봤는데 별다른 원인을 찾지 못했습니다.

그 외로는 온찜질하면서 누워있는데 느낀 것입니다.
눈을 크게 뜨면 이마가 올라가는데 눈을 크게 뜰 때마다 두피의 욱신거림이 나타난 점이 있습니다. 일어난 후에는 없습니다.

목을 움직일 때 입 안쪽의 목, 귀와 이어진 부분?에서 약간의 욱신거림이 있었습니다.

신경외과에서는 통증이 칼로 찌르는 듯한 날카로운 통증이 아니라 욱신거림이라 애매하다는 얘기가 있었습니다.
왼쪽 눈에 피로감이 더 느껴집니다.
(왼쪽 두피, 왼쪽 귀)

의심되는 부분이 무엇일지 만약 약을 다 먹고도 호전이 없다면 어떻게 하면 좋을지 의견을 구합니다.


answer Re : 귀 및 두피 통증(두통)
박종원
박종원 전문의 아나파신경과의원 하이닥 스코어: 889
전문가동의 0 | 답변추천 1
안녕하세요. 하이닥 신경과 상담의 박종원입니다.
추가적인 정밀검사는 필요치 않으며
뒷목의 두판상근과 등부분까지 반복적인 신경치료와 물리치료가 필요합니다.
작은 터치에도 민감한 것은 순환장애가 동반된 상태이므로
치료가 정확한 경우는 호전이 매우 빠릅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answer Re : 귀 및 두피 통증(두통)
이이호
이이호 전문의 창원파티마병원 하이닥 스코어: 2022
전문가동의 0 | 답변추천 1
안녕하세요. 하이닥 외과 상담의 이이호입니다.

추가 검사: 만약 현재까지의 검사에서 원인을 찾지 못했다면, 병원에서 추가적인 검사를 시행해볼 수 있습니다. 뇌 CT 또는 MRI 스캔, 두피 또는 귀에 관한 자세한 검사 등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전문의 상담: 기존의 신경외과와 이비인후과를 방문한 것 외에도 다른 전문과를 방문해보는 것이 좋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신경학적 증상을 확인할 수 있는 신경과 전문의를 방문해보거나, 두통과 관련된 문제를 다루는 두통센터를 찾아볼 수도 있습니다.

통증 관리: 통증을 완전히 없애는 것이 어려운 경우가 있으므로, 현재 두통과 두피 통증을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 의사와 상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통증을 완화하기 위한 약물, 물리치료, 스트레칭, 마사지 등 다양한 치료법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스트레스와 생활 습관 관리: 스트레스와 잘못된 자세, 나쁜 생활 습관이 두통과 통증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스트레스 관리와 건강한 생활 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두통과 통증은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각각의 개인 상황에 따라 적합한 치료 방법이 다를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의사와 함께 상세한 상담과 검사를 통해 원인을 찾고, 적절한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가능한 빨리 의사를 방문하여 진단과 치료를 받기를 권장드립니다. 건강을 최우선으로 생각하시고 전문가의 도움을 받으시길 바랍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