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닥

상담 목록

Question hiv 바이러스 공기노출 사멸
안녕하세요 선생님 예전에 질문드린사람인데요.
바이러스의 경우 성관계가 아닌이상 피가 공기중으로 나오면 피속에 있는 바이러스가 사멸한다고 답변 받았습니다. 그런데 에이즈상담센터에서는 피가 말라야 죽는다고 하더군요.. 뭐가 맞는 사실인가요? 그리고 바이러스가 공기노출시 사멸이라면 감기나 코로나는 어떻게 걸리는건가요


answer Re : hiv 바이러스 공기노출 사멸
김범철
김범철 전문의 서재곤링커병원 하이닥 스코어: 153
전문가동의 0 | 답변추천 0

안녕하세요. 하이닥 내과 상담의 김범철입니다.

HIV는 공기중이나 수중에서는 금방 활동성을 상실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HIV는 림프구나 혈청 및 체액 속에서는 감염력이 있으나, 공기가 건조하여 혈액이나 체액이 말라버린 상태에서는 활성이 급속도로 떨어져서 공기감염은 전혀 있을 수 없습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answer Re : hiv 바이러스 공기노출 사멸
이이호
이이호 전문의 창원파티마병원 하이닥 스코어: 2022
전문가동의 0 | 답변추천 0
안녕하세요. 하이닥 외과 상담의 이이호입니다.

에이즈 바이러스(HIV)는 공기 중으로 노출되면 빠르게 사멸합니다. 일반적으로 3초 이내에 99% 이상 사멸하며, 1분 이내에 100% 사멸합니다. 따라서, 공기를 통해 HIV에 감염될 가능성은 매우 낮습니다.

감기와 코로나는 비말 감염으로 전파됩니다. 비말이란 기침, 재채기, 말하기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작은 물방울로, 여기에는 바이러스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비말이 다른 사람의 호흡기로 들어가면 바이러스가 감염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HIV 바이러스와 감기, 코로나 바이러스는 모두 공기 중으로 노출될 경우 사멸하지만, 비말 감염의 경우 비말이 다른 사람의 호흡기로 들어가면 감염될 수 있습니다.

에이즈상담센터에서 피가 말라야 죽는다고 하신 것은, 피가 건조되면 바이러스가 사멸하는 속도가 더 빨라지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피가 건조되지 않더라도 HIV 바이러스는 빠르게 사멸하므로, 공기를 통해 HIV에 감염될 가능성은 매우 낮습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