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하이닥 외과 상담의 이이호입니다.
선천적으로 두개골에 작은 구멍을 가지고 태어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이를 두개골 기형이라고 합니다. 두개골 기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하나는 두개골 융합 기형으로, 두개골의 뼈가 정상적으로 융합되지 못하고 구멍이 생기는 경우입니다. 다른 하나는 두개골 결손 기형으로, 두개골의 뼈가 정상적으로 형성되지 못하고 구멍이 생기는 경우입니다.
두개골 융합 기형의 경우, 대개 두개골의 앞쪽이나 옆쪽에 발생하며, 크기는 새끼손톱 반절에서 손톱만한 크기까지 다양합니다. 대부분 별다른 증상이 없으며, 성장하면서 자연적으로 막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두개골 결손 기형의 경우, 대개 두개골의 뒤쪽이나 옆쪽에 발생하며, 크기는 새끼손톱 반절에서 콩알만한 크기까지 다양합니다. 증상은 구멍의 크기와 위치에 따라 다릅니다. 구멍이 작고 위치가 안전한 경우, 별다른 증상이 없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구멍이 크거나 위치가 위험한 경우, 뇌수종, 뇌막염, 뇌출혈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말씀하신 내용으로 미루어 볼 때, 귀하의 아기는 두개골 융합 기형의 가능성이 높습니다. 두개골 결손 기형의 경우, 구멍이 새끼손톱 반절만한 크기로, 성장하면서 자연적으로 막히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귀하의 아기는 8개월이 되었는데도 불구하고 구멍이 커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보아, 두개골 융합 기형의 가능성이 더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물론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CT나 MRI 등의 검사가 필요합니다. 6개월 후에 다시 엑스레이를 찍어보고, 구멍의 크기나 모양에 변화가 있는지 확인해 보셔야 합니다. 만약 구멍이 커지거나 모양이 변했다면, CT나 MRI 검사를 통해 정확한 진단을 받으셔야 합니다.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의 경우, 두개골이나 얼굴, 사지 등에 혹이 생기는 질환입니다. 혹은 보통 1cm 이하의 크기로, 딱딱하고 아프지 않습니다.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은 대개 자연적으로 치유되지만, 일부 경우에는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귀하의 아기는 혹이 아니라 구멍이 있는 것으로 보아,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의 가능성은 낮다고 생각됩니다. 하지만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조직검사나 피검사 등의 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귀하의 아기가 두개골 기형을 가지고 태어났더라도, 대부분 별다른 증상이 없으며, 성장하면서 자연적으로 막히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구멍의 크기나 위치에 따라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정기적으로 진료를 받아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