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닥

상담 목록

Question 8개월 아기 두개골 구멍
안녕하세요. 8개월 딸 아기 아빠입니다. (3월 24일생)

저희 아기는 태어났을 때부터 오른쪽 후두부에 새끼손톱 반절만한 딱딱한 혹?이 있었습니다.

산후조리원에서부터 발견하여 이후 동네 소아과 진료 후 3차 병원 소아과에서 1차 진료(4.12.), 2차 진료(5.24.), 3차 진료(6.23.)실시하였습니다.

아이가 어리다보니 엑스레이는 따로 찍지 말자고 하셨었고 3번의 진료동안 의사선생님께서 만져보시며 혹이 커지는 지만 확인하셨고 다행히 커지지 않는다고 앞으로 병원에 안 와도 되겠다고 말씀하셨습니다.

그런데 이걸 다행이라고 해야할지 모르겠다만 오늘 아이가 침대에서 떨어지는 일이 발생하여 신경외과에 가서 엑스레이를 찍게 되었습니다.

다행히 두개골 골절은 없었으나 저희가 원래 혹이라고 생각했던 부분에 구멍이 있다고 하셨습니다.

두개골에 구멍이 선천적으로 있고 해당부분에 골막이 흘러나왔다가 굳어 혹처럼 딱딱해진 것일수도 있다고 하셨습니다. 물론 가설이고 정확히 보려면 mri를 찍어봐야하는데 아직 너무 어리니 6개월 이후에 일단 엑스레이를 다시 찍어보자고 하셨습니다.

낙상만으로도 너무 놀라고 무서웠는데 두개골에 구멍이 있다는 말을 들으니 불안하고 아기에게 미안해 정신을 붙잡기가 어렵습니다..

의학지식이 전무하여 나름 동앗줄이라도 붙잡는 심정으로 웹서치를 해봤더니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이 두상에서 혹이 잡히는 경우가 있다고 하던데 저희 아기는 혹이 아니라 구멍이라서 이게 맞는지.. 확인해보려면 조직검사, 피검사 등등을 시행해야할텐데 아직 너무 어리다보니 각종 검사들이 꺼려지는 것이 사실입니다.

질문의 요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선천적으로 두개골에 작은 구멍을 가지고 태어나는 경우가 종종 있는지요?
2. 저희 아이와 같은 경우 (물론 자세히 검사를 해봐야겠지만) 소아과 전문의 소견으로는 어떤 병이 예상되는지요...신경외과 선생님의 소견은 들어서 소아과 선생님의 이야기를 듣고 싶습니다..

제발 도와주세요..


answer Re : 8개월 아기 두개골 구멍
이이호
이이호 전문의 창원파티마병원 하이닥 스코어: 2015
전문가동의 0 | 답변추천 1
질문자의 감사 인사 | 선생님 너무 감사합니다. 덕분에 마음이 좀 편해졌습니다. 진정 의사이십니다.

선생님 너무 감사합니다. 덕분에 마음이 좀 편해졌습니다. 진정 의사이십니다.

안녕하세요. 하이닥 외과 상담의 이이호입니다.

선천적으로 두개골에 작은 구멍을 가지고 태어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이를 두개골 기형이라고 합니다. 두개골 기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하나는 두개골 융합 기형으로, 두개골의 뼈가 정상적으로 융합되지 못하고 구멍이 생기는 경우입니다. 다른 하나는 두개골 결손 기형으로, 두개골의 뼈가 정상적으로 형성되지 못하고 구멍이 생기는 경우입니다.
두개골 융합 기형의 경우, 대개 두개골의 앞쪽이나 옆쪽에 발생하며, 크기는 새끼손톱 반절에서 손톱만한 크기까지 다양합니다. 대부분 별다른 증상이 없으며, 성장하면서 자연적으로 막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두개골 결손 기형의 경우, 대개 두개골의 뒤쪽이나 옆쪽에 발생하며, 크기는 새끼손톱 반절에서 콩알만한 크기까지 다양합니다. 증상은 구멍의 크기와 위치에 따라 다릅니다. 구멍이 작고 위치가 안전한 경우, 별다른 증상이 없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구멍이 크거나 위치가 위험한 경우, 뇌수종, 뇌막염, 뇌출혈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말씀하신 내용으로 미루어 볼 때, 귀하의 아기는 두개골 융합 기형의 가능성이 높습니다. 두개골 결손 기형의 경우, 구멍이 새끼손톱 반절만한 크기로, 성장하면서 자연적으로 막히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귀하의 아기는 8개월이 되었는데도 불구하고 구멍이 커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보아, 두개골 융합 기형의 가능성이 더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물론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CT나 MRI 등의 검사가 필요합니다. 6개월 후에 다시 엑스레이를 찍어보고, 구멍의 크기나 모양에 변화가 있는지 확인해 보셔야 합니다. 만약 구멍이 커지거나 모양이 변했다면, CT나 MRI 검사를 통해 정확한 진단을 받으셔야 합니다.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의 경우, 두개골이나 얼굴, 사지 등에 혹이 생기는 질환입니다. 혹은 보통 1cm 이하의 크기로, 딱딱하고 아프지 않습니다.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은 대개 자연적으로 치유되지만, 일부 경우에는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귀하의 아기는 혹이 아니라 구멍이 있는 것으로 보아,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의 가능성은 낮다고 생각됩니다. 하지만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조직검사나 피검사 등의 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귀하의 아기가 두개골 기형을 가지고 태어났더라도, 대부분 별다른 증상이 없으며, 성장하면서 자연적으로 막히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구멍의 크기나 위치에 따라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정기적으로 진료를 받아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