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닥

상담 목록

Question 두통이 생겼다 없어져요.
안녕하세요.

지금까지 겪어보지 못한 형태의 두통이 생겼습니다.

한달전 처음 두통이 생겼을때는 오른쪽 뒤통수가 찢어지는 것 같은 심한 통증이 잠깐 있었는데 그후 며칠간 그 주변에 뻐근한 통증이 지속되다가 없어졌습니다. (이무렵 다리 통증/따가움으로 엔테론+베니톨 복용중이었습니다)

이후 몇주간 괜찮다가
며칠전부터 다시 오른쪽 뒤통수에 뻐근한 통증이 생겼다 없어졌다 합니다.

특이한점은 통증이 생겼다가도 몇분후엔 괜찮아지고
또 몇분간 통증이 있다가 없어지기도 하고
정수리 옆으로 통증이 옮겨가거나 오른쪽 귀뒷쪽 머리로 옮겨가거나 왼쪽 뒤통수로 옮겨가기도 합니다.

이런 통증은 몇분간 있다가 없어지기를 반복합니다.
(요즘은 엔테론만 복용중입니다)

어떤 경우에 이런 두통이 생길 수 있을까요?
정맥순환과 관련이 있을까요?

감사합니다.


answer Re : 두통이 생겼다 없어져요.
이이호
이이호 전문의 창원파티마병원 하이닥 스코어: 2015
전문가동의 0 | 답변추천 0
질문자의 감사 인사 |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고맙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고맙습니다.

안녕하세요. 하이닥 외과 상담의 이이호입니다.

두통은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는 증상입니다. 귀하의 경우, 두통이 생겼다가 없어졌다 하는 특이한 양상을 보이므로, 다음과 같은 원인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긴장성 두통
긴장성 두통은 가장 흔한 두통의 일종으로, 스트레스, 피로, 수면 부족, 불안, 불면증 등의 요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긴장성 두통은 통증이 뻐근하거나 압박하는 느낌으로 나타나며, 머리 전체에 걸쳐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군발성 두통
군발성 두통은 짧은 시간 동안 매우 심한 통증이 발생하는 두통으로, 보통 15분에서 3시간 동안 지속됩니다. 군발성 두통은 주로 한쪽 눈 주위에 통증이 나타나며, 눈물, 코막힘, 안구 충혈 등의 증상이 동반될 수도 있습니다.

일과성 이완성 허혈성 발작
일과성 이완성 허혈성 발작은 뇌혈관이 일시적으로 좁아지면서 뇌에 혈액 공급이 부족해져 발생하는 증상입니다. 일과성 이완성 허혈성 발작은 뇌졸중과 유사한 증상이 나타나지만, 뇌졸중과 달리 뇌 조직에 손상이 발생하지는 않습니다. 일과성 이완성 허혈성 발작의 증상은 통증, 마비, 감각 이상, 시각 장애, 언어 장애 등이 있으며, 보통 몇 분에서 30분 동안 지속됩니다.

정맥류
정맥류는 혈관이 비정상적으로 확장된 상태를 말합니다. 정맥류가 두개골 내부에 발생하면 두통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정맥류로 인한 두통은 뻐근하거나 압박하는 느낌으로 나타나며, 목 뒤나 뒷머리에 통증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귀하의 경우, 두통이 갑자기 발생했다는 점, 두통이 생겼다가 없어졌다 하는 양상을 보인다는 점, 엔테론을 복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긴장성 두통이나 일과성 이완성 허혈성 발작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병원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병원에서는 두통의 양상, 동반 증상, 과거 병력 등을 확인하고, 필요에 따라 혈액 검사, CT 검사, MRI 검사 등을 시행하여 원인을 파악합니다. 원인에 따라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두통을 완화하고, 악화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answer Re : 두통이 생겼다 없어져요.
전우현
전우현 전문의 감꽃요양병원 하이닥 스코어: 78
전문가동의 0 | 답변추천 0
질문자의 감사 인사 |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고맙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고맙습니다.

안녕하세요. 하이닥 신경과 상담의 전우현입니다.


질문하신 분의 기초 의학 정보와, 기저질환 유무 및 복용 약물, 해당 증상의 자세한 병력에 대한 설명이 다소 한정적이어서 이렇게 서면으로 질문과 답변하는 것은 제한이 있을 수 밖에 없고, 이러한 정보는 어디까지나 참조용으로 사용할 뿐 의학적 판단 근거가 되기가 어려운 점을 미리 말씀드립니다.
말씀하신 증상만으로 정보가 부족하므로 자세한 진단은 어렵습니다. 추정 감별진단을 몇가지 요약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진료에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1. 긴장성 두통
2. 후두신경통
등을 감별하시면 될 듯 합니다.


# 긴장성 두통(Tension type Headache)

긴장성두통은 매우 흔한 원발성 두통 중 하나로서 일반적으로 스트레스, 피로, 수면부족 등의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가벼운 두통이며, 긴장성두통은 20~40세 사이에 가장 많이 나타나며 나이가 들면서 점차 호전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증상
긴장성두통은 흔히 두피 근육이 반복적으로 수축하면서 발생합니다. 통증 양상은 (편두통에 비하여) 일반적으로 박동성이지 않은 압박감, 조이는 느낌, 또는 머리나 어깨를 짓누르는 느낌 등으로 나타나며 대부분 양측성인 경우가 흔합니다. 머리를 띠를 꽉 두른 듯 조이듯이 둔하고 지속적인 두통을 호소하고 진통제 등의 반응성이 좋은 편입니다. 일부에서는 통증이 심할 때 주기적인 박동성을 보일 수도 있습니다. 두통의 강도는 대부분 경도~중증도이며 두통이 있을 때에도 일상생활을 일부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두통의 발생 빈도가 잦은 경우에는 강한 두통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긴장성두통 환자의 경우, 편두통과는 다르게 일상생활에 의하여 두통이 악화되지 않는 것이 특징이며. 일반적으로 스트레스, 수면 부족, 피로, 금식, 음주 등에 의해서는 긴장성두통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 원인
긴장성두통의 원인에 대해서는 명확히 밝혀진 것이 없습니다. 두개 주변의 근막압통이 흔히 나타나고. 이는 말초에 있는 통증을 담당하는 통각수용기가 활성화되어 근막에서 통증을 감지하는 감수성이 증가하여 나타나는 결과로 추정됩니다. 이 근막 통각수용기의 민감화가 긴장성두통의 말초성 원인으로 생각됩니다.

■ 진단
진단은 신경과 전문의가 환자를 대면하여 자세한 두통 병력청취와 신경학적 검사를 통해서 시행합니다. 대부분 별다른 검사를 추가로 필요로 하지 않지만 감별진단을 위해서 영상검사 및 혈액 검사, 기타 신경근육생리 검사를 추가하기도 합니다.

긴장성 두통의 진단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1. 2~3을 만족하는 두통이 일정 기간 이상 존재(긴장성 두통을 저빈도/고빈도 및 만성으로 분류하는데, 각 분류에 따라 빈도에 대한 규정이 다르다.)
2. 두통은 30분에서 7일간 지속함(만성에서는 수시간)
3. 두통은 다음 양상 중 적어도 두 가지 이상을 가짐
1) 양측성
2) 압박감/조이는 느낌(비박동성)
3) 경도 또는 중등도의 강도
4) 걷기나 계단 오르기 같은 일상 신체활동에 의해 악화되지 않음
4. 다음의 두 가지 모두를 만족함
1) 구역이나 구토가 없음(식욕감퇴는 있을 수 있음)
2) 빛공포증이나 소리공포증 중 한 가지만 있을 수 있음
5. 다른 질환에 기인하지 않음

■ 치료
긴장성두통은 단순진통제에 잘 반응합니다. 그리고 저빈도 삽화성(episodic) 긴장성두통 환자에서는 예방적 치료를 시행할 필요가 없습니다. 간혹 만성 긴장성두통 환자에게는 항우울제 등의 약물을 예방적 차원에서 투여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약물과용두통으로 변형될 위험이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 예후
긴장형두통은 만성으로 변형되지 않는 한 대개 치료에 잘 반응하며 장기적인 합병증이나 후유증도 남기지 않는 편입니다. 장기적으로 환자의 약 50%는 두통이 호전되지만, 나머지 절반의 환자의 경우 만성 긴장형두통이나 약물과용두통으로 변형되기도 합니다.


# 후두 신경통(Occipital Neuralgia)

후두 신경통은 흔한 두통 중의 하나로, 주로 머리 뒷쪽 목에서부터 머리 위로 방사되는 방향으로 마치 전기가 튀는 듯한 중~고도의 심한 신경통증으로, 후두신경(occipital nerve) 분포를 따라서 짧은 시간 (수초에서 수분) 동안 번개 같은 통증이 주변부로 퍼질 수 있습니다. 대부분 해당 신경의 객관적인 신경 결손이 발견되지 않으며, 유발부위를 통증이 없는 자극 (이질통, allodynia)으로 통증이 유발 됩니다. 통증이후에 불응기 (refractory period) 가 나타나고. 불응기는 질병이 진행됨에 따라 단축됩니다. 대부분 후두 신경통은 갑자기 발생하는 경우가 많고, 점점 그 정도나 간격이 심해지면서 악화되다가 서서히 호전되는 경우를 보입니다. 보통 수시간에서 수일 동안 지속될 수 있으며, 특별한 치료를 하지 않으면 계속 장기 지속되는 경우도 흔합니다. 통증의 중증도는 중등도 이상으로 대부분은 통증이 올 때마다 환자는 깜짝 깜짝 놀랄 정도로 펄쩍 펄쩍 뛰며 통증과 두려움으로 인해 안절부절 하지 못하게 됩니다. 심한 경우 오심과 구토가 동반되기도 합니다.

■ 신경해부
후두 신경통은 후두부에서 두통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그것은 두피의 후부에서 일측 또는 양측, 발작성 또는 찌르는 통증으로 나타나며,

관련된 신경은 3가지 입니다. 큰후두신경 (greater occipital nerve), 작은후두신경 (lesser occipital nerve) 그리고 제3후두신경 (the 3rd occipital nerve) 입니다.주로 관련된 신경 부위를 누르면 통증이 유발됩니다.
목뒤 감각은 경부 신경 뿌리 (cervical nerve root) 경우 C2, C3, C4 및 때때로 C5의 등쪽 1차 신경 뿌리의 중간 가지 (medial branches of dorsal primray rami) 가 담당합니다.
큰후두신경은 2번 경부 신경에서 비롯되어 반척추근 (semispinaslis) 과 승모근 (trapezius) 을 관통하며, 정리수부터 목의 가장 높은 부부의 감각을 담당합니다.
작은후두신경은 2번, 3번 경부 신경의 분지에 의해 형성되고, 목빗근 (Sterno-Cleido-Mastoid muscle) 의 후연을 따라 올라가고, 큰후두신경 보다 두피의 외측 감각을 담당하며 귀의 뒷부분과 윗부분의 감각을 담당합니다.
제3 후두 신경은 3번 경부 척추 신경에서 유래하고, 승모근 (trapezius) 을 관통하며, 두피의 뒷목의 윗부분 및 뒷머리 두피에 감각을 공급하며, 큰 후두 신경 보다 내측을 담당합니다.

■ 발생 원인
흔한 가설로 후두 신경통이 다른 메커니즘 (만성 불안정성, 포획, 외상, 염증)을 통해 경추 2, 3번 신경근 및 / 또는 후두 신경의 손상으로 인해 발생한다는 것입니다. 어떤 경우는 아놀드-키아리 기형 (Arnold-Chiari malformation) 수술 또는 두개골 경부 교차점 및 경추 상부의 다른 수술 후 발생합니다. 일부는 후두 동맥에 의한 신경의 혈관 압박을 제안했습니다. 현재 가장 유력한 가설은 '뒷목과 두피의 근육이 후두신경을 만성적으로 누르기 때문에 후두 신경통이 발생한다' 입니다. 대부분 후두 신경통은 자연적으로 (spontaneously) 발생합니다.

■ 역학
일반인들은 후두 신경통이 흔하다고 생각하지만 실제 임상 진료에서 상대적으로 드물게 발생합니다. 후두 신경통에 관한 문헌은 상충되며 실제 발병률과 유병률은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이 상황은 후두 신경통에 대한 정의 및 진단 기준에 대한 합의가 없기 때문입니다. 알려진 위험 요소로는 자동차 사고로 인해서 목이 뒤로 과도히 젖혀 지거나 앞으로 굽혀지는 위플래시 손상 (whiplash injury)가 있습니다.

■ 증상
후두 신경통의 통증은 갑자기 시작됩니다. 통증 양상은 강렬하고, 찌르는 듯하며, 감전된 듯한, 날카로운 통증입니다. 통증은 목덜미에서 시작하여 즉시 정수리 부위로 퍼집니다. 통증의 발작은 자연적으로 시작되거나 특정 행위로 인해 유발되기도 합니다. (머리를 빗질하거나 추위에 노출되거나 목을 움직이는 것 등) 통증은 일반적으로 편측이지만 양측의 경우도 있습니다. 고통스러운 발작 사이에 둔한 후두부 불편감이 있을 수 있습니다. 진료시에 후두 신경 줄기에 대한 압박, 촉진 또는 두드림은 해당부위 통증을 유발하거나, 고통스러운 발작을 유발할 수 있고, 불편감을 악화 시키거나, 영향을 받는 신경의 분포에 영역의 감각 이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신경을 두드리면 종종 통증이 재현됩니다 (티넬 사인, Tinel's sign). 경부 운동 범위가 제한 될 수 있으며 국소적인 후부 목 경련이 발견 될 수 있습니다. 후두 신경통은 신경통의 엄격한 정의에 다소 모순되지만, 때때로 영향을 받는 부위에서 감각이 저하되거나 감각 이상이 동반됩니다. 나머지 신경학적 검사 결과는 일반적으로 정상입니다. 신경학적 검사는에 이상이 있는 경우 다른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진단
후두 신경통의 진단은 전형적인 임상 특징이 존재할 때 고려됩니다. 국소 후두 마취 차단으로 통증이 일시적으로 완화 될 때 진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국소 차단은 비특이적 개입이므로 증상 완화는 특정 병인을 나타내지 않습니다.

국제 두통 장애 분류 3 판 (ICHD-3)의 후두 신경통에 대한 진단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A) 큰후두신경, 작은후두신경, 제3후두신경의 분포에 따라 통증이 있으며 B에서 D 기준을 충족시킴
B) 통증은 다음 세 가지 특성 중 적어도 두 가지가 있습니다.
• 몇 초에서 몇 분 동안 지속되는 발작
• 심한 강도
• 찌르는 듯하고 날카로운 통증
C) 통증은 다음 두 가지와 관련이 있습니다.
• 두피 또는 모발의 무해한 자극시 명백한 감각 이상 및 / 또는 이질통
• 다음 중 하나 또는 둘에 해당함 : 관련 신경 가지에 압통 (tenderness), 큰후두신경 이나 경추2번 신경 부위의 통증 유발점 (trigger points)
D) 관련 신경의 국소 마취 차단으로 통증이 일시적으로 완화됩니다
E) 다른 ICHD-3 진단으로 더 잘 설명되지 않음
※후두신경차단술 로 통증이 호전되지 않으면 후두 신경통이 아닙니다.

■ 감별진단
후두 신경통은 다른 구조물로 인한 연관 통증 (referred pain) 과 구별되어야 합니다. 수막종, 말초신경종, 동정맥 누공, 혈관 압박, 근염, 다발성 골수종, 골수염, C2 해면 기형 및 C2-3 염증성 탈수초성 질환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후두 통증의 원인은 임상적 특징만으로는 추론 할 수 없으므로 신경 영상으로 적절한 평가가 필요합니다. 경부성 두통 (cervicogenic headache) 은 경부 관절 (cervical joint)이 원인으로 생각되며 감별 진단시 고려해야 합니다. 병리 생리학, 통증의 원인, 그리고 심지어 뚜렷한 임상 양상로서의 경부성 두통의 존재는 논란의 여지가 있으며 다소 논란의 여지가 있습니다.

■ 검사
후두 신경통이 의심되는 환자에게는 경추 상부 및 후방 오목 (posterior fossa)에 대한 신중한 평가가 필수적입니다. 후두 신경통의 평가를 위한 신경 영상 검사의 유용성에 관한 명확한 지침은 없습니다. 그러나, 구조적 및 침윤성 병변이 후두 신경통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후두 신경통이 의심되는 새로운 경우에 대해 머리 및 경추의 MRI 검사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통증이 비정형이거나 신경학적 검사가 비정상적인 경우 영상을 권장합니다.
지속적인 뒷머리 통증이 있고 감각이 손상되지 않으면 통증이 위에서 언급한 경부 다른 구조물로 인한 연관 통증 (referred pain) 일 수 있습니다.

■ 치료
1) 찜질
국소적인 열찜질 치료는 근육 경련과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하루에 1회-3회 얼음찜질을 하면 통증이 호전되기도 합니다.
2) 주사
주사 (후두신경차단술) (보통 국소 마취제와 글루코 코르티코이드)는 진단 및 치료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신경 차단은 시술에 적절하게 훈련 된 의사가 수행해야합니다.
후두 신경 차단 후 통증 완화는 일반적으로 신속하며 몇 주 또는 몇 달 지속될 수 있습니다. 통증이 재발하면 절차를 반복 할 수 있습니다. 마취 / 글루코 코르티코이드 주사가 혈관 내로 주사되지 않는 한, 합병증이 거의 없이 안전합니다. 드물게, 지속적인 글루코 코르티코이드 함유 신경차단주사를 맞으며 2 차 쿠싱 증후군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3) 약물치료
약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신경차단주사와 동시에 사용하기도 합니다.
카바마제핀 (carbamazepine) 은 발작적인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가바펜틴(gabapentin) 및 삼환계 항우울제 (TCA)로도 통증 호전이 관찰되었습니다.
프레가발린 (pregabalin) 또는 바클로펜 (baclofen) 은 다양한 결과를 보여주었습니다.
4) 목 보조기 (neck collar)
외상 이후 발생한 급성 후두 신경통의 설정에서 2 ~ 3 주 동안 목 보조기를 사용하여 목을 고정하는 것이 고통스러운 발작을 줄일 수 있습니다.
5) 기타 치료
보톡스 주사, 펄스 고주파 (PRF)
보톡스 주사는 신경 차단 주사 및 경구 약물 치료에 실패한 일부 환자에게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보톡스 50 IU 주사는 국소 마취제 주사보다 더 긴 진통 기간을 보입니다. 다른 연구에서, 큰후두 신경과 작은후두 신경 주행 경로에 보톡스 주사는 날카로운 통증은 개선되었지만 둔한 통증은 개선되지 않았습니다. 초음파는 보툴리눔 독소 주사로 목표할 특정 후두 신경 포획 위치를 찾는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궁극적으로 보툴리눔 독소 주사가 후두 신경통의 관리에 중요한 역할을하는지 결정하기 위해 대규모 위약 대조 시험이 필요합니다. 고주파 치료는 아직 근거가 미약합니다.
6) 감압 수술
후두 신경통 환자에서는 큰후두신경 외과 감압 수술이 효과볼 수 있습니다. 신경감압수술 은 말초신경 전문가가 있는 병원에서 시행받을 수 있습니다.
위에서 언급하였듯이 약으로 호전되지 않는 후두 신경통 환자들은 신경차단주사를 맞을 수 있지만 신경차단주사를 몇주 간격으로 지속적으로 맞으면 쿠싱 증후군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신경감압수술은 이에 대안이 될 수 있고 저는 후두 신경통의 말초신경 전문가로서 감압수술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감압수술 후 약 70 - 80 % 환자들이 두통이 호전되고 많은 환자들이 복용하던 약을 중단할 정도로 통증이 좋아집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