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닥

상담 목록

Question 허리 협착증
안녕하세요
2023년06월경 허리통증 및 발저림 으로
MRI찰영 하였는데 경증 협착증 과 염좌로 진단 받았습니다.
약물복용 하였고 아직 주사 치료는 하지 않았습니다.
10월쯤 괜찬아 졌다가.
10월 중순쯤 허리 뜨끔 하는 느낌으로 다시 허리 통증 및 방사통이 왔습니다.
현재는 허리통증은 2정도로 완화되었는데 허벅지및 발쪽에 방사통이 있습니다.
신경이 많이 부어있다고 하는데.
약물로 보존치료 해도 될런지 아니면 스테로이드 주사를 맞아야 하는건지
스테로이드에 대한 반감이 심하여 6개월넘는기간동안 맞지않고 참고있습니다.
참을만 하면 약물복용 하면서 보존치료 해도 되는건지
아니면 신경이 많이 부어있다고 하는데 허리통증 없어도 주사를 맞는것이 맞는것인지 알려주세요 ㅠㅠ
방사통이 참을만 한대 신경이 많이부어있다고 합니다
약물 치료로 신경의 붓기도 가라 않는것인지 아니면 반드시 주사치료를 해야하는것인지 문의드립니다

감사합니다.


answer Re : 허리 협착증
이창순
이창순 전문의 서울더나은마취통증의학과의원 하이닥 스코어: 6
전문가동의 0 | 답변추천 1
질문자의 감사 인사 |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고맙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고맙습니다.

안녕하세요. 하이닥 마취통증의학과 상담의 이창순입니다.

1. 일단 목숨과 관계된 것은 아니므로 통증 치료방법에 대부분의 경우 꼭 따라야 하는 정답은 없습니다. 약을 드셔도 너무 아프면 당장 추가로 주사치료를 시도해봐야겠지만, 현재 상황은 그렇지 않기 때문입니다.

2. 주사를 안 맞고 약 드시면서 재활 운동을 6개월 더 했을 때 통증이 완전히 호전될지는 누구도 장담하기 어렵습니다. 다만 요추에 큰 무리를 주는 운동이나 직업활동을 피할 수 있다면 호전될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3. 경구약이 염증을 가라앉혀주는 효과가 1이라고 하면 주사는 잘 될 경우 10 이상 있습니다. 잘 될 경우 염증으로 인한 유착 등을 일부 해소시키는 좋은 효과가 있을 수 있습니다(이른바 신경을 청소하는 개념으로)

4. 스테로이드주사로 인한 영향 만큼이나 소염제도 오래 드시면 위장장애, 궤양, 출혈, 혈전 등의 위험요인이 있습니다. 저 같으면 약 오래 쭉 드실 바에야 주사 한번 맞고 약 드문드문 드시거나 끊으시라고 설명드립니다.

5. 이런 점들을 알고 고려하셔서 충분한 상담 후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