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닥

상담 목록

Question 수근관 증후군 질문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작년 12월에 전기자극 테스트를 받았을때 왼손 수근관 증후군 초기 진단을 받았습니다.
그런데 시간이 지나면서 오른쪽 새끼 손가락부터 시작해서 왼쪽 새끼 손가락, 최근에는 오른쪽 세 손가락도 저리기 시작했습니다.

이 경우 목뼈 문제일수도 있다고 해서 MRI를 촬영했는데 정상으로 나왔고
저번주에는 손목 초음파 검사를 했는데 정상으로 나왔습니다.
초음파 검사하던 의사분이 부어있는것고 안보이고 인대가 두꺼워지지도 않았다고 하셨습니다.

신경과에서 목과 어깨도 전기자극 검사를 해보자고 하는데 해외에 있어서 10월이 제일 빠른 검사일이네요.

질문이 두개 있습니다.

1. 전기자극 검사에서 목이나 어깨에 문제가 있을경우 손목에 위양성이 뜰수 있나요?
2. 수근관 증후군에 제일 정확한 검사는 무엇인가요? 손목 MRI를 해볼까하는데 emg나 초음파보다 정확한가요?


answer Re : 수근관 증후군 질문 드립니다
박종원
박종원 전문의 아나파신경과의원 하이닥 스코어: 867
전문가동의 0 | 답변추천 0
안녕하세요. 하이닥 신경과 상담의 박종원입니다.
손목 터널증후군에 대한 신경전도검사는 정중신경의 신경전달속도로 평가하므로
목디스크과 혼동되지 않습니다.
손목 MRI보다는 치료를 위주로 합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answer Re : 수근관 증후군 질문 드립니다
박수철
박수철 전문의 활기찬정형외과의원 하이닥 스코어: 30
전문가동의 0 | 답변추천 1
질문자의 감사 인사 |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고맙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고맙습니다.

안녕하세요. 하이닥 정형외과 상담의 박수철입니다.

1. 전기자극 검사에서 목이나 어깨에 문제가 있을 경우 손목에 위양성이 뜰 수 있는가?

네, 가능합니다. 손목의 신경이 목이나 어깨에서 발생한 압박이나 문제로 인해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손목에서의 전기자극 검사 결과가 비정상으로 나타날 수 있지만, 실제로는 원인이 다른 부위에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신경학적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다양한 부위를 고려하여 검사를 진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수근관 증후군에 제일 정확한 검사는 무엇인가요?

수근관 증후군의 진단에서 가장 정확한 검사는 전기자극 검사(EMG)와 신경전도 검사(Nerve Conduction Study)입니다. 이 두 가지 검사는 신경의 기능을 평가하여, 수근관에서의 신경 압박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손목 MRI는 조직의 구조를 평가하는 데 유용하지만, 수근관 증후군의 진단에 있어 EMG나 신경전도 검사보다 직접적인 진단 도구는 아닙니다. 따라서, 수근관 증후군을 의심할 경우 EMG와 신경전도 검사가 가장 유용하고 정확한 방법입니다.

MRI는 다른 문제(예: 인대 손상, 구조적 이상)를 확인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수근관 증후군의 진단에 있어서는 EMG나 신경전도 검사가 더 적합합니다. 검사 결과에 따라 적절한 치료 방법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answer Re : 수근관 증후군 질문 드립니다
김창래
김창래 전문의 고유가정의학과의원 하이닥 스코어: 522
전문가동의 0 | 답변추천 0
안녕하세요. 하이닥 내과 상담의 김창래입니다.
손목과 경추에서 검사흘 하는 위치가 다르므로 서로 혼동되기는 어렵습니다. 손목 MRI 보다는 치료를 하고 호전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