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닥

상담 목록

Question 현미경적 혈뇨
엄마가 건강검진 소변검사에서 현미경적혈뇨가 나와서<단백뇨×> 비뇨기과에서 방광경. 신장초음파. 복부ct까지 찍었으나 이상이 없다네요..
초음파에서 요관에 4mm짜리 뭐가 하얗게 보여서
ct찍어보라 했는데 아무것도 안나왔어요.
엄마가 칼슘+비타민d 오래 드셨고 <첨에는 이것때문인줄..> 올 여름 일하시면서 땀을 엄청 흘려서 소변도 잘 안나왔데요~
그만두시면서 지금은 괜찮아요.
원인을 못찾다가 괜히 지금 암 초기인데 나중에 육안적 혈뇨 보여 암으로 발견될까 너무 두렵습니다.
암이 너무 작아서 ct에서 안보이는거 아닌지..
신장내과를 가봐야 할까요? 3개월마다 추적검사를 하는게 맞을까요??ㅜㅜ


answer Re : 현미경적 혈뇨
김경남
김경남 전문의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하이닥 스코어: 521
전문가동의 0 | 답변추천 0
안녕하세요

#요약
1. 현미경적 혈뇨 수준이면
2. 수주 후에 재검을 해서 반복되는지 추이를 확인해 보는겁니다.

혈뇨는 요로계의 어느 부위에서든 감염으로 인해 생길 수 있는데,
특히 방광이나 콩팥에 생긴 염증으로 인해 흔하게 생길 수 있습니다.

나이가 많을수록 신장암이나 방광암과 같은 암이 있는지,
나이가 적으면 사구체 신염에 의한 혈뇨인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콩팥을 비롯한 요로에 결석이 있는 경우에도 혈뇨가 발생할 수 있으며,
콩팥부터 요도까지 요로계 어느 부위에서든지 외상에 의한 손상으로 인해 혈뇨가 생길 수 있습니다.

또 와파린 또는 아스피린 계열의 약들과 같이
혈액 응고를 방해하는 약물을 복용하는 경우 혈뇨가 발생할 확률이 높고
과격한 운동 후 근육이 파괴되면, 소변이 혈뇨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건승하세요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