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estion
혈뇨관련 문의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저희 어머니께서 몇 년 전부터 혈뇨를 보고 계십니다. 나이는 60대 후반이십니다.
육안적으로 보이지는 않고, 현미경으로만 보이는 극소량의 혈뇨라고 합니다.
주기적으로 추적 관찰을 했고, 혈뇨는 있을 때도 있고, 없을 때도 있었습니다.
그래서 이번에 대학병원 신장내과에 가셔서 신장CT 검사를 받았는데 이상은 없다고 했습니다.
그럼 방광문제인가 해서 물어봤는데 분야가 달라서 모른다고 했습니다.
병원에서 내린 결론은 개인 비뇨기과에 가서 추적 관찰을 받아보라고 했습니다.
여기서 궁금한 것이 몇 가지 있습니다.
1. 신장CT를 찍으면 방광도 같이 볼 수 있는 건가요? 아니면 방광은 따로 찍어야 되는 건가요?
만약에 CT에서 방광도 같이 나왔는데, 문제점이 있어도 신장내과에서는 분야가 달라서 알 수가 없나요?
2. 보통은 대학병원에서 비뇨기과쪽으로 연결 해주는데, 개인병원으로 가서 추적 관찰을 받아보라고 해서 의아 했는데요.
개인 병원에 가서 추적 관찰을 하는 게 맞는 걸까요? 아니면 대학병원 비뇨기과쪽으로 다시 검사를 받아봐야 할까요?
예전에 개인 비뇨기과에서 추적 관찰을 할 당시에 계속 혈뇨가 나오면 CT를 찍어봐야 될 것 같다고 했는데요.
이번에 찍은 신장CT에 방광도 나왔다면, 이걸 가지고 가서 상담을 받아보면 될까요?
그리고 신장CT찍을 때, 조영제 없이 찍었다고 해서 문제가 되지는 않는지 궁금합니다.
3. 혈뇨가 나오면 주로 하는 검사가 방광내시경이 있던데, 꼭 받아봐야 하는 건가요?
아니면 혈뇨에 따라서 안 해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좋은 답변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