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하이닥 마취통증의학과 상담의 양경승 입니다.
허리가 아픈 경우는 크게 허리 디스크성 통증과 척추와 골반을 연결해 주는 인대/힘줄 손상 2 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
허리 디스크성 통증은 주로 앉아 있거나 허리를 숙일 때 통증이 심해지고 일어서거나 걸으면 증상이 나아지는 양상을 보입니다.
척추와 골반을 연결해 주는 인대/힘줄 손상은 척추 측만증(옆으로 휜 척추), 골반의 비대칭, 양측 다리 길이 차이 등의 구조적인 원인으로 인해 비대칭적인 체중부하가 골반과 척추를 지지해 주는 인대나 힘줄이 뼈에서 뜯기는 손상을 발생시켜 누워있을 때도 아프고 오래 앉아 있거나 자세를 바꿀 때도 통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통증으로 인해 걷기 힘들어 절뚝거리는 증상을 보일 수 있습니다.
MRI상 허리 디스크가 없었다면 근전도 검사에서도 음성 판정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상근 증후군 진단에 근전도는 불필요 하고, 신경 주사 맞을 때도 불필요합니다.
단, 진단하는 데 참고 자료로 쓰일 수는 있으므로 의사마다 의견이 다를 수 있을 겁니다.
질문하신 분은 골반이 비틀어져 있거나 척추측만증(옆으로 휜 척추) 등으로 인해 몸통의 한 쪽에 지속적인 스트레스를 주기 때문에 골반, 등 쪽이 아플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럴 경우, 척추와 골반을 연결해 주는 인대/힘줄 손상으로 허리, 엉치가 아플 수 있고 이상근 증후군 또한 크게 보면 이 범주 안에 듭니다.
허리에 해당하는 하부 요추가 휘어 있다면 그 여파로 상부 척추인 경추쪽도 휘어지게 되고 목디스크는 아닌 데 손과 팔이 저릴 수 있습니다. 그러나, 오래된 비대칭은 결국 목 디스크를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을 염두해 두어야 합니다. 오래된 목 디스크에 경우 간단한 엑스레이 만으로도 진단되는 경우가 많고 불확실한 경우는 근전도가 아닌 MRI 입니다.
치료는 골반이나 척추의 비대칭 또는 한쪽 다리가 짧은 경우 인솔(깔창) 처방으로 보정이 가능한 지 점검이 필요하고 도수/운동 치료가 도움이 될 것입니다.
마취통증의학과, 신경외과, 정형외과 전문의와 상의하세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