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하이닥 한방내과 상담의 오원택 입니다.
질문자님처럼 병원검사 후 특별한 이상이 없다고 하는데도 불구하고, 숨쉬기가 힘들다고 호소하시는 분들이 생각보다 많습니다. 최근에는 증가되는 추세인데, 이런 경우 병원에서는 호흡기에서 특별한 이상을 발견할수 없다보니 '신경성호흡곤란'이라고 진단하거나 이후 상황이 더 악화되면 정신과적인 원인으로 보고 '공황장애' 또는 '우울증'등의 진단을 내립니다.
제가 언급한 정신과라는 단어에 거부감이 드실 수는 있지만 폐기능적 문제 없이 심리적인 부분이 개입되어 있다보니 어쩔수 없는 실정이 되곤 합니다.
한방(한의원)에서는 과거부터 스트레스로 인해 폐라는 장기의 기의 흐름이 응축되고 그로인한 호흡곤란이 나타나는 것을 당연하게 다뤄왔습니다.
본원에서는 신경성호흡곤란(소기도폐쇄)를 선,후천적으로 나타나게 된 기관지 점액의 부족으로 인한것으로 보고 치료합니다. 우리 호흡기 안에는 점액이 충분하게 존재해야 점막을 보습하고, 묽은 가래에 섞어 이물질을 밖으로 내보낼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 점액의 양이 줄어들고 건조해지면 끈적끈적한 풀처럼 기관지에 달라붙어 숨을 쉬어도 깊게 쉬어지지 않는 느낌, 내뱉어도 시원하게 나가지 않는 느낌을 유발하게 됩니다. 바로 질문자님께서 적어주신 증상과 같은 증상이 나타나는 것입니다.
이런 증상이 나타나는 이유는 스트레스로 인한 심리적 문제 외에도 체질적으로 약한 소화기, 건조한 피부, 땀이 잘 나지않는 체질, 말을 많이 하게되는 직업이나 습관, 평소 코막힘을 가지고 있다거나 입을 벌리고 자서 호흡기를 건조하게 만드는 습관 등 다양한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문제를 만듭니다.
증상을 발생시키는 진짜 원인에 대해 정확하게 파악한 뒤로는 생각보다 어렵지 않게 치료가 될수 있으므로 장기화되도록
방치하지 않으시기를 추천합니다.
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