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닥

상담 목록

Question 신장 관련 수치
2014년
크레티아닌 1.2
신사구체여과율 71


2016년
크레티아닌 1.1
신사구체여과율 78


2019년
크레티아닌 1
신사구체여과율 85


2021년
크레티아닌 1
신사구체여과율 84


2023년
크레티아닌 1
신사구체여과율 83


2024년
크레티아닌 1.1
신사구체여과율 77


올해 39살 남성입니다
수치가 14년도부터 거의 고정인데
사실 가이드상에 있는 신사구체여과율보다는 항상 낮은 상태라
제 신장수치가 나이에 비해 안좋은건지 궁금합니다

단백요는 2014년에 양성+1, 2016년에는 약양성 나왔고
이후로는 계속 정상으로 나오고 있습니다


answer Re : 신장 관련 수치
홍인표
홍인표 전문의 닥터홍가정의학과의원 하이닥 스코어: 4472
전문가동의 0 | 답변추천 0
안녕하세요. 하이닥 가정의학과 상담의 홍인표입니다.
지금 수치는 크게 문제는 없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EGFR(사구체 여과율, 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 Rate)은 신기능(신장의 기능)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EGFR는 신장이 혈액을 얼마나 잘 여과하는지를 측정하며, 일반적으로 신기능이 저하될수록 EGFR 값이 낮아집니다. EGFR에 따른 신기능을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습니다:

정상 신기능 (Normal Kidney Function):

EGFR ≥ 90 mL/min/1.73 m²
신장이 정상적으로 기능하고 있으며, 특별한 신장 문제가 없습니다.
경미한 신손상 (Mild Kidney Damage):

EGFR 60-89 mL/min/1.73 m²
경미한 신손상이 있을 수 있으나, 대부분 증상이 없고 정상으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위험 요인이 있는 경우 정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경증 신부전 (Mild to Moderate Kidney Failure):

EGFR 30-59 mL/min/1.73 m²
신기능이 경증에서 중증도로 저하된 상태로, 이 단계에서 신장 손상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중증 신부전 (Moderate to Severe Kidney Failure):

EGFR 15-29 mL/min/1.73 m²
신기능이 크게 저하된 상태로, 신장 질환의 증상이 뚜렷해질 수 있습니다. 이 단계에서는 신장전문의의 관리와 치료가 필요합니다.
말기 신부전 (Kidney Failure):

EGFR < 15 mL/min/1.73 m²
신기능이 거의 없는 상태로, 투석이나 신장이식을 고려해야 하는 단계입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